논문 상세보기

Factors of the Working Environ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ors on Turnover Intention: The Impact of Coaching Interventions on Emotional Labor KCI 등재

영유아 교사의 근무환경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코칭 중재가 감정노동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722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300원
코칭연구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한국코칭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of Coaching)
초록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근무환경과 이직의도 관계를 알아보고 감정노동이 이 두 변수를 조절하는지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영유아교사 199명을 대상으로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인구통계학적 주요변인의 차이검증을 위해 t-검증 (t-test) 및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또한 감정노동 조절효과 검증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과 단순기울기 분석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근무환경의 하위 변인들은 감정노동의 내면적 행동에는 정적 상관관계를, 이직의도에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영 유아 교사들의 감정노동은 표면적 행동과 내면적 행동에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으며 감정노 동의 표면적 행동은 이직의도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낮은 물리적 환경과 대인관계에 기반 한 감정노동은 이직의도를 유도하지만 반면 감정노동은 근무환경과 이직의 도 간의 조절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근무환경의 개선방안으로 영유아교사의 업무에 대한 코칭 개입 방법은 궁극적으로 이들의 이직의도를 낮추는 효과적인 방안일 수 있다. 즉 정서적인 지 지를 통해 스트레스적인 근무 환경을 정서 안정적이고 긍정적인 환경으로 변경하고, 물리적으 로 교재․교구비 지원, 근로시간 보장, 처우 개선을 통해 영유아 교사들의 근무환경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궁극적으로 코칭기법을 중심으로 교사 심리 상담 과 같은 정서적 지원프로그램을 제공하여 그들의 이직의도를 낮추는 방안을 제언한다.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emotional labor coaching by confirming the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labor between the working environment and turnover inten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ors. To this en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simple slope analysis were conducted to confirm the moderating effec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working environmen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inner behavior of emotional labor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turnover intention. The surface behavior of emotional labor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urnover intention, and emotional labor acted as a moderating factor between the working environment and turnover intention. Therefore, the study suggests to improving emotional support and working environment based on coaching.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1.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2. Working Environ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ors
    3. Emotional Labor of Early Childhood Educators
    4. Turnover Intention Among Early Childhood Educators
Ⅲ. Methods
    1. Study Design
    2. Measurements of Variables
    3. Data Analysis
IV. Research Results
    1.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Participants
    2. Descriptive Statistics of Key Variables
    3. Hypotheses Testing of Key Variables
V. Discussion and Conclusion
    1.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key variables
    2. Differences in the key variables
    3. Validating the moderating effect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Kim Mi Ae(Ph.D. Candidat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Korea University) | 김미애 (고려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박사과정 수료)
  • Lee Ji Na(Lecturer,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Korea University) | 이지나 (고려대학교 문화스포츠대학원 사회복지학과 강의교원)
  • Hwang Myung Jin(Professor,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Korea University) | 황명진 (고려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