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Dormancy and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Syringa reticulata Seeds KCI 등재

개회나무 종자의 휴면 및 발아특성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753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화훼연구 (Flower Research Journal)
한국화훼학회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초록

개회나무(Syringa reticulata)는 수수꽃다리속 물푸레나무과 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으로 관상 및 약용 등으로 사용되는 가 치가 높은 식물이다. 본 연구는 개회나무 종자의 휴면타파와 발아특성을 구명하여 대량증식 체계를 확립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종자내외부특성, 수분흡수률, 변온처리(25/15, 20/10, 15/6, 5℃), 저온층적처리(0, 4, 8, 12주), 생장조절제 농도 (GA3 0, 10, 100, 1000mg·L-1)처리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배는 완전히 성숙되어 있는 형태였으며, 수분흡수률은 초기대비 약 39.2% 증가하였다 변온 처리조건에서는 15/6℃ 조건에서 발아율이 69.2%로 가장 높았으며, 0주 층적처리에서 가장 높은 발아율을 나타낸 것으로 보아 변온의 5℃ 처리의 결과와 동일한 양상으로 저온은 발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생장조절제 처리에서는 상대적으로 GA3 농도가 높은 100, 1000mg·L-1 처리에서 발아률이 통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위 결과를 보아 개 회나무는 생리적 휴면을 가지고 있으며, 세부적으로 non-deep PD라고 판단된다.

Syringa reticulata is a deciduous broad-leaved tree in the Oleaceae family, valued for its ornamental and medicinal uses. This study investigated dormancy-breaking and germination characteristics in S. reticulata seeds to establish a mass propagation system. The research focused on internal and external seed characteristics, water absorption rate, alternating temperature treatments (25°C/15°C, 20°C/10°C, 15°C/6°C, and 5°C), cold stratification treatments (0, 4, 8, and 12 weeks), and growth regulator concentrations (GA3 at 0, 10, 100, and 1000 mg・L-1).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seed embryo was fully developed, and the water absorption rate increased by approximately 39.18% from the initial level. Germination rates were at their highest (69.2%) Notably, seeds without cold stratification exhibited the highest germination rate, indicating that cold stratification did not markedly affect S. reticulata germination. Growth regulator treatments led to higher germination percentages at 100 and 1000 mg・L-1 GA3 concentration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 reticulata seeds exhibit physiological dormancy, specifically non-deep physiological dormancy.

목차
서 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초 록
사 사
References
저자
  • Young Hyun Kwon(Agriculture and Life Science Research Institut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24341, Korea) | 권영현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Si Young Oh(Department of Horticulture and Forestry, Pai Chai University, Daejeon 35345, Korea) | 오시영 (배재대학교 원예산림학과)
  • Chung Ho Ko(Division of Plant Resources, Korea National Arboretum, Yangpyeong 12519, Korea) | 고충호 (국립수목원 식물자원연구과)
  • Yong Ha Rhie(Department of Interdisciplinary Program in Smart Agricultur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24341, Korea, Department of Horticultur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24341, Korea) | 이용하 (강원대학교 스마트농업융합학과, 강원대학교 원예학과)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