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낙동강 하구 인근 해저 표층 퇴적물의 지화학 조성: 화학적 풍화와 기원지 KCI 등재

Geochemistry of Surface Sediments near the Nakdong River Estuary: Chemical Weathering and Source Rock Composi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758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강으로부터 해양으로 유입되는 퇴적물은 유역분지의 지질, 지리, 지형, 기후 등의 영향을 반영하며, 육상 유역분 지에서 퇴적물 생성 과정에서 수반되는 화학적 풍화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를 조절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남해안 낙동강 하구 인근 해저 표층 퇴적물의 지화학 조성을 이용하여 화 학적 풍화의 강도와 퇴적물의 기원지에 분포하는 암석의 조성을 추정하였다. 연구 시료의 화학적 풍화 강도는 중간에 낮은 정도(평균 Chemical Index of Alteration=68)이며 A-CN-K 도표에서 추정한 풍화의 추세는 퇴적물의 기원지 성분 이 평균적인 상부 대륙지각과 매우 유사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낙동강 유역분지에 분포하는 중생대 화강암류와 경상누 층군 퇴적암이 혼합된 성분을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연구 대상인 퇴적물이 낙동강 하구로부터 유입되는 퇴 적물의 성분을 대표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표층 퇴적물의 희토류원소는 분화된 경희토류-중희토류의 비와 음의 Eu 이상 을 나타내어 상부 대륙지각과 매우 유사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전 세계 강 하구 퇴적물 자료 및 국내의 큰 강 자료와 비교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지질 및 지형의 잠재적인 영향을 고려할 수 있다.

Characteristics of riverine sediments entering the marine realm reflect the geology, geography, topography, and climate of the drainage basin. Chemical weathering in hinterland is known to play a significant role in regulating atmospheric CO2 levels. This study examines the intensity of chemical weathering and the composition of source rocks of surface sediments near the Nakdong River estuary on the south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degree of chemical weathering of the study samples is relatively low to moderate (average Chemical Index of Alteration=68), and the weathering trend inferred in the A-CN-K diagram suggests that the source rock composition is close to the average upper continental crust. It indicate that the source rock composition represents a mixture of the Mesozoic granitoids and the Gyeongsang Supergroup distributed in the Nakdong River drainage basin. The surface sediments exhibit fractionated chondrite-normalized rare eath element patterns and negative Eu anomalies, again similar to the upper continental crust. Comparison of our result with data from global estuarine sediment and large rivers in Korea allow us to parse the potential impacts of geology and topography on chemical weathering in watersheds.

목차
Abstract
요 약
서 론
    시료 채취 및 분석
결과 및 토의
    화학적 풍화의 정량화
    기원지 암석의 조성
    국내외 강 하구역 퇴적물 조성과의 비교
결 론
사 사
References
저자
  • 주영지(부경대학교 환경지질과학전공, 48513, 부산광역시 남구 용소로 45) | Young Ji Joo (Major of Environmental Earth Science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48513, Republic of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