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조명의 스타일 요인 탐색 KCI 등재

Exploring the Style Factors of Light and Light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782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조명은 감정적 경험을 제공하는 디자인 요소로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빛과 조명이 전달하는 감정 을 분석하고 설명하기 위한 새로운 척도를 제안하고자 한다. 설문 조사를 통해 빛과 관련된 인상 깊은 경험을 수집하 고, 각 경험에서 사용된 빛을 묘사하는 형용사를 추출하였다. 47명의 조명 전문가를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 조사에서 총 355개의 인상 깊은 조명 경험 예시가 수집되었고, 이 중 142개의 형용사가 추출되어 43개가 평가 기준으로 선정 되었다. 이 기준을 활용해, 23명의 참가자들이 221개의 조명 예시를 평가하였다. 평가된 데이터를 활용한 요인 분석 을 통해 ‘신비로움’, ‘자연스러움’, ‘흥미로움’, ‘고급스러움’, ‘스마트함’의 다섯 가지 요인이 도출되었다. 각각의 척 도는 조명의 다양한 감정적 특성을 나타내는 여러 형용사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제품 및 공간 디자이너 가 조명을 통해 원하는 감성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Lightning is increasingly used as a design element that provides emotional experiences and enhances affection. This study analyzes the emotions elicited by light and lighting and proposes new scales for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light. Impressive light-related experiences were gathered via a survey, and adjectives were extracted to describe light from each experience. A survey conducted with 47 experienced lighting designers yielded 355 examples of impressive lighting experiences, from which 142 adjectives were extracted, and 43 were chosen as evaluation criteria. Using these criteria, 23 participants rated 221 lighting examples. Factor analysis yielded five factors: “Mystique,” “Naturalness,” “Excitement,” “Elegance,” and “Smartness.” Each factor is consists of various adjectives representing different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lighting. The results shall guide product and space designers to effectively convey desired emotions and affections through lighting.

목차
Abstract
요 약
1. 서론
2. 조명의 스타일을 설명하는 형용사 수집
    2.1. 인상적인 빛에 대한 경험 수집
    2.2. 형용사 추출 및 선정
3. 조명 감성 척도 발굴
4. 결과
5. 논의
    5.1. 각 요인 별 조명의 특징
    5.2. 본 연구의 활용
    5.3. 한계
6. 결론
REFERENCES
저자
  • 김병진(KAIST 산업디자인학과 박사과정) | Byeongjin Kim
  • 석현정(KAIST 산업디자인학과 교수) | Hyeon-Jeong Suk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