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시각에서 본 영화제 포스터 디자인 : 부산과 상하이의 미학 및 문화 표현
이 연구는 글로벌화의 관점에서 한국의 부산국제영화제와 중국의 상하 이국제영화제 포스터 디자인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문화 상징과 색채 사용을 중심으로 두 국가 영화제 포스터의 브랜드 이미지 구축과 문화적 표현의 차이를 탐구한다. 본 연구는 이론적 틀로 Schmitt의 전략적 경험 모듈(SEMs)을 활용하고, 정량적 색채 분석을 위해 한국표준색채분석 (KSCA)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시각적 상징이 어떻게 문화적 상징성과 감 성적 공감을 전달하는지 살펴본다. 연구 결과, 부산영화제 포스터는 한색 계열을 선호하여 이성적이고 미니멀한 현대 미학을 반영하고 있으며, 상 하이영화제 포스터는 난색 계열과 풍부한 문화적 상징을 통해 강한 국가 정체성과 감성적 매력을 전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연구는 글로벌 화의 맥락에서 한국과 중국 영화제의 브랜드 포지셔닝 및 디자인 전략의 차별성을 강조하며, 국제 영화제 포스터에 문화 상징을 적용하는 것에 대한 이론적 통찰과 실질적인 참고 자료를 제공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oster designs of the Busan and Shanghai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analyzing cultural symbols and color schemes from a globalization perspective.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it explores differences in brand image and cultural expression between Chinese and Korean film festivals. Using Schmitt’s Strategic Experiential Modules (SEMs) as a framework and the Korean Standard Color Analysis (KSCA) for quantitative color assessment, the research examines how visual elements convey cultural symbolism and emotional resonance. Findings in dicate that Busan festival posters favorcool tones, embodying a rational and minimalist aesthetic, whereas Shanghai posters prefer warm colors and rich cultural symbols that highlight national identity and emotional appeal. This study underscores the contrasting branding strategies of Chinese and Korean film festivals within globalization, offering insights into the role of cultural symbols in international festival pos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