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고려시대 선밀쌍수의 전개 양상 고찰 주선종밀(主禪從密)을 중심으로 KCI 등재

The Development of Dual Practice of Seon and Esoteric Buddhism in Koryo Dynas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792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900원
불교문예연구 (Studies on Buddhist art and culture)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Studies on Buddhist art and culture)
초록

조선불교통사에는 조선시대 불교 신행을 참선・간경・염불로 요약하 였으며 이와 같은 양태는 현대 한국불교 불자들의 신행으로 변함없이 유 지되고 있다. 그러나 한국불교를 지탱하고 있는 중요한 요소 중에는 불상 과 사찰의 조성・점안・공양・조석예불 등의 외형적 요소가 있으며, 이들 은 모두 밀교에서 기인한다. 밀교는 불교의 의례 소재를 이루지만 내면적 으로는 초기 불교의 선정・유가행을 발전시켜 삼밀가지(三密加持)・즉신 성불(卽身成佛)과 같은 출세간 수행의 요소를 동시에 포함하고 있다. 고 려시대 말에는 임제선 풍토의 선이 주도하지만 동시에 밀교를 통해 수행 의 마장을 물리치고 보살지의 유가행을 도와 법신・보신・화신의 삼신을 성취하는 불교 수행의 정점이기도 하다. 이처럼 선밀쌍수(禪密雙修), 혹 은 선밀겸수(禪密兼修)는 밀교가 동아시아에 성행한 이후 시작된 것으로 선과 밀교를 병행하는 실천 수행의 전통을 가리킨다. 그렇지만 중심축은 선종이며, 밀교는 선종과 융합하되 수행의 보조적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 한다. 한국불교의 선밀쌍수의 연원은 신라시대 밀교 아사리인 불가사의로서 불가사의는 자신의 저서인 공양차제법소에서 단밖에 깨닫지 못하는 근 기를 위해 차례의 방편을 시설한다고 하여 돈오(頓悟)를 근간으로 밀교의 방편이 시설되는 이유를 밝혔다. 선불교는 초조 달마대사 이후 많은 발전 단계를 거쳤지만, 근본은 능가경에서 볼 수 있는 대승보살도의 계승이 며 돈오의 깨달음 이후에도 후득지(後得智)를 강조하고 있으며, 마조의 조사선과 임제선 이후에도 중생의 고난과 국가재난을 구제하는 무위진인 (無位眞人)의 행도에 밀교가 활용된 모습을 볼 수 있다. 한국불교의 경우 천수경의 유행은 일찍이 다라니를 선정장(禪定藏)이라 하여 진언과 다 라니를 선정의 범주에 포함하였다. 고려시대에는 범서총지집이 선밀쌍 수의 전적으로 꼽히며, 많은 선사들의 선사상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 한 선밀쌍수의 전통은 고려시대 이후 조선시대로 계승되고 근대의 선사 들에게까지 전승되고 있다.

The Buddhist practices in the Joseon period are summarized by Seon(禪), Reading scripture(看經) and Invocation to Buddha(念 佛). These tendencies are still maintained as contemporary practices of Korean Buddhism. However, among the important elements that support Korean Buddhism are ceremonial occasions such as the creation of Buddhist statues, temple construction, consecration ceremonies, and rituals for ancestral memorial services, all of which originate from Esoteric Buddhism. Esoteric Buddhism constitutes the ritual material of Buddhism but also internally develops meditation to develope nature of body, speech and .mind and finally promote immediate attainment of Buddhahood. Since the coexistence of Seon and Esoteric Buddhism in East Asia Seon masters made use of Mantras and Dharanis and rituals of Esoteric Buddhism to overcome Maras and aslo adopted the practices of Mahayana Buddhism by way of elements of esoteric Buddhism. This tradition is referred to as Dual practice of Seon and Esoteric Buddhism(禪密雙修, DPSEB) signifying a tradition of simultaneous practice involving both Seon and Vajrayana. The origin of DPSEB in Korean Buddhism was stated by Bulgasaui(不可思議) who was an Asarya(阿闍梨) during the Silla period, who explained the Expedients(方便) in Esoteric Buddhism are for those of low qualification in his work "The Commentary of Ritual of Vairocana Sutra (供養次第法疏)" in which of the work stated that the high qualified disciples attain sudden realization(頓悟). The appearance of DPSEB in Koryo dynasty emphasizes attaining wisdom the realized Seon masters should relieving suffering of sentient beings and society where he belongs. In The Ten Thousands Arms Sutra(千手經), it is said that Mantras and Dharanis are Stages of Seon and other contemplation(禪定藏) and another works of "Collection of Sanskrit Dharanis(梵書摠持集)“ supported ideas DPSEB with which many monks leaving their mark in this tradition.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II. 선밀쌍수의 배경
    1. 대일경의 출현과 번역
    2. 신라불교의 밀교수용과 고려밀교의 형성
III. 고려시대 임제선 수용과 선정장
    1. 후득지와 진언 수용
    2. 선정장과 범서총지집
    3. 고려시대 문헌의 선밀쌍수 사례
IV. 결어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설상동(현응)((사)아시아종교연구원 연구위원) | Seol Sangdong(Ven. Hyeon-eung) (Senior Researcher, Asia Research Center of Relig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