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자연치유 진단을 위한 대상자의 간호 진단 중재를 적용한 사례 연구로, 대상자의 치유 과정을 이해하고 지원하기 위한 접근 방식이다. NANDA(North American Nursing Diagnosis Association, 북미간호진단 협회)의 간호 진단 분류 체계를 기반으로 한 간호 과정을 수행하고 평가하는 시스템을 통해 자연치유를 선택하는 대상자들의 건강을 돕고자 하였다. 이 사례를 통해 자연치유 진단, 자연치유 수행, 결과, 평가까지 도출하는 과정을 서술적 보고 형식으로 제시하였다. 연구 대상자가 겪고 있는 건강 문제인 불 안에 대해 주관적 및 객관적인 사정 자료를 통해 파생된 건강 문제들을 간 호 진단, 요인 분석, 대상자의 행동 특성 등으로 분류하고, 중재 목표를 설 정하였다. 목표에 대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한 중재 요법으로, 몸의 관절 가 동 범위를 넓혀주는 원심도와 싱잉볼 이완 요법을 간호 중재로 선택하여 긍 정적인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이는 앞으로 유사한 환자들에게도 적용할 수 있는 모델이 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향후 다양한 질환 군에 대한 간호 체계 분류를 적용한 자연치유 중재 효과에 대한 양적 연구의 확대와 장기적인 자 연치유 과정과 그 결과를 평가하기 위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This study is a case study that applies nursing diagnosis interventions for natural healing diagnoses, aiming to understand and support the healing process of the subject. The study uses the nursing process system based on the NANDA (North American Nursing Diagnosis Association) nursing diagnosis classification system to assist the health of individuals choosing natural healing. Through this case, the process of deriving the natural healing diagnosis, performance, results, and evaluation is presented in a descriptive report format. The health issue of anxiety faced by the research participant was classified into nursing diagnoses, factors analysis,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through subjective and objective assessment data, and intervention goals were set. As an intervention for deriving results, centrifugal and singing bowl relaxation therapies, which expand the joint range of motion, were selected as nursing interventions, producing positive outcomes. This model can be applied to similar patients in the future. It is suggested that future research should expand quantitative studies on the effectiveness of natural healing interventions applying nursing classification systems for various disease groups, as well as long-term follow-up research to evaluate the natural healing process and its outco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