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k Rehyun’s Modernization and Oriental Painting Circles of the 1960s-1970s
본 논문은 1960-1970년대 동양화단에서 추상회화, 태피스트리, 판화를 거쳐 동양화로 선회한 박래현(朴崍賢, 1920-1976)을 분석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동양화단이 주체성과 시대성이라는 대립 양상을 보이며 현대화를 전개했던 주요 흐름을 먼저 살펴본 다. 그리고 박래현이 남긴 다수의 기고문에 나타난 미술 양식과 재료, 태도 등을 통해 현대화에 대한 예술 인식이 어떻게 변화했 는지 고찰한다. 이러한 작업은 그동안 반추상 또는 추상 시기 작품을 통해 동양화를 현대화, 즉 서구화한 사례로 조명하거나, 미국 유학 시기의 태피스트리와 판화만을 조명함으로써 동양화단을 떠나 새로운 장르를 모색한 작가로 여겨졌던 박래현을 재고하려는 시도이다. 본 연구는 박래현의 현대화 방식이 기존에 주로 알려진 동양화단의 이원적 대립 노선 외에 보다 다양한 국면을 형성했 으며, 과거에 대한 반성적 계시와 함께 미래지향적인 자세와 확장된 지평을 제시해 준 것임을 밝힌다.
This thesis examines Park Rehyun(1920-1976), an artist who transitioned back to Oriental painting after exploring abstract painting, tapestry, and printmaking in the Oriental Painting Circles of the 1960s-1970s. It investigates the modernization of Oriental painting, marked by tensions between tradition and contemporary trends, and explores shifts in artistic perception through many contributions left by her. This is an attempt to reconsider her who has been regarded as an artist seeking for a new genre, by examining only tapestry and printmaking or examining the modernization of Oriental painting through semi-abstract or abstract works. By revealing her modernization as multifaceted it highlights her reflective realization of the past, future-oriented perspective, and expansive artistic vision. This study reveals that Park Rehyun’s modernization formed various aspects besides dichotomized line of Oriental Painting Circles, and also presents the reflective revelation of the past, future oriented attitude, and extended prosp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