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독일 수발보험(법) 변천과 개혁이 한국의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주는 시사점 KCI 등재

The Evolution and Reform of Long􀀐Term Care Insurance (LTCI Law) in German and Implications They Have for Korea’s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856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000원
융합인문학 (Korean Journal of Converging Humanities)
한국인문사회질학회 (Korean Association on Humanities & Social Quality)
초록

독일은 지난 1995년 공동체 또는 사회적으로 제공되는 형태의 삶을 보장하고자 사회보험 방식에 수발보험 을 도입하여 2025년 현재 30년의 시간을 맞이하였다. 수발보험 시행 20년 이후 소위 수발강화법 (Pflegestarkungsgesetz I, II, III)을 통해 발생되는 문제점들을 나름 해결해 왔기에, 본 연구는 독일의 공적 수발보험 개혁에 초점을 맞추고 수발보험의 형성 역사와 발전에 대한 개요를 인구 변천과정에서 살펴보면 서 다양한 수발급여와 등급판정 및 수발인력의 고용관계 상황을 파악해 보았다. 특히 2023년 최신 수발보 험 개혁을 비판적 시각에서 분석하여 독일의 경험을 통한 우리의 개혁과제를 제시해 보았다.

Germany introduced Long-Term Care Insurance (LTCI) in 1995 as part of a social insurance model to ensure community-based or socially supported living, and the year 2025 marks 30th anniversary of its operation. Two decades have passed since Germany first implemented LTCI, and the country has used the so-called Long-Term Care Strengthening Acts (Pflegestärkungsgesetz I, II, III) in its efforts to address various issues. For these reasons, this study focuses on the reforms of Germany's public LTCI system. The study outlines the historical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LTCI in the context of demographic transitions and provides an in-depth analysis of various long-term care benefits, care level assessments, and the employment relationships of care personnel. In particular, the study undertakes a critical examination of the latest 2023 reforms in Germany’s LTCI and proposes actionable reform strategies for South Korea based on Germany’s experiences.

목차
요 약
Ⅰ. 서론
    1. 연구배경과 필요성
    2. 인구분포에 따른 수발현황
    3. 수발보험에 따른 기존 선행연구 분석
Ⅱ. 수발보험의 정책배경과 제도분석
    1. 독일 수발보험법의 도입 배경에 따른 변천
    2. 수발보험 원칙에 따른 목표와 비용부담
    3. 수발보험 급여체계
Ⅲ. 수발보험법의 변천과 수발개혁법
    1. 법적 추구방향
    2. 수발개혁법(Das Pflege-Neuausrichtungsgesetz-PNG)
    3. 수발강화법(Pflegestärkungsgesetz-PSG)의 등장
    4. 등급판정 기준변화 평가모듈
    5. 수발인력의 고용 관계
    6. 수발개혁 2023
Ⅳ. 수발보험 개정의 문제점과 도전 과제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김광선(강남대학교 대우교수) | Kim Kwang-sun (Adjunct Professor, Kangnam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