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메타버스 이용자의 아바타 유형에 따른 플 로 경험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사회적 실재감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KCI 등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Influence of Avatar Types on Flow Experiences of Metaverse User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Presen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856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800원
융합인문학 (Korean Journal of Converging Humanities)
한국인문사회질학회 (Korean Association on Humanities & Social Quality)
초록

본 연구는 아바타 꾸미기에 특화된 제페토 이용자 201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정체성을 반영하는 아바타의 유형에 따라서 이용자들의 미디어 경험이 어떻게 차별화 되는지를 사회적 실재감과 플로를 통해서 분석하 였다. 특히 사회적 공간으로서 메타버스에서의 플로 경험은 타 아바타와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는 점에서 사회적 실재감의 매개 효과를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바타를 나와 비슷 하다고 생각하는 집단에서 더 많은 사회적 실재감과 플로를 경험하고 있으며, 아바타는 나와 다르다고 생각하는 집단에서는 플로의 하위요인 중 몰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사회적 실재감의 하위요인 중 상호이해와 정서적 유대감은 매개변인으로 플로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공동 공간감은 통계적 으로 영향력이 없었다. 본 연구는 상호이해와 정서적 유대감이 이용자의 플로 형성에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는 점에서 사회적 상호작용이 메타버스 서비스에 있어서 중요하게 논의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plored how media experiences in the metaverse differ based on avatar types that reflect users' identities, focusing on social presence and flow. The study used a sample of 201 ZEPETO users engaged in avatar customization to investigate how social presence influences flow during interactions with other avatars in the metaverse.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users who felt their avatars closely resembled themselves reported higher levels of social presence and flow. This suggests that when users feel that their avatars align well with their real selves, they experience deeper engagement in the metaverse. In contrast, users who viewed their avatars as different from them did not experience significant immersion, a sub-concept of flow, which indicates that the disconnection between embodiment of identity in the real world and avatar may reduce user engagement. Additionally, mutual understanding and emotional connectedness—sub-concepts of social presence—were found to mediate flow, enhancing the overall user experience. However, an awareness of co-location, the feeling that users share the same virtual space with one another, had no significant impact on flow. These results suggest that metaverse platforms should prioritize features that can foster meaningful interactions and emotional connections among users to enhance social presence. This approach would lead to more flow experiences, improving user satisfaction and retention in virtual environments.

목차
요 약
Ⅰ. 연구의 배경
Ⅱ. 이론적 논의
    1. 아바타 정체성
    2. 사회적 실재감(Social Presence)
    3. 플로(Flow)
Ⅲ. 연구 방법
    1. 표집
    2. 주요 변인의 측정
Ⅳ. 분석 결과
    1. ‘나와 비슷한 아바타 유형’과 플로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실재감의 하위요인 별매개 효과 분석
    2. ‘나와 다른 아바타 유형’과 플로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실재감의 하위요인 별매개 효과 분석
V.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장채린(서강대학교 메타버스전문대학원 박사과정) | Jang Chae-lin (Ph.D. Student of Graduate School of Metaverse, Sogang University)
  • 이수영(서강대학교 지식융합미디어대학 교수) | Lee Soo-young (Professor of School of Media, Arts and Science, Sogang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