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loring Temporal Imbalances in Spatial Accessibility to Infant and Pediatric Healthcare Infrastructure: A Case Study of Weekdays Daytime, Nighttime and Weekends in Seoul
한국의 지속적인 저출산 현상으로 영유아 및 소아 의료 시설과 인력이 감소하고 있다. 특히 평일 주간을 제외한 시간대에서 는 의료 인프라의 공백으로 시간적 불균형이 발생한다. ‘시간 외 의료 서비스’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적절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야간 및 주말의 의료 접근성에 대한 정확한 측정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two-Step Floating Catchment Area(이하 2SFCA) 방법을 활용하여 평일 주간, 평일 야간, 주말의 영유아 및 소아 의료 인프라에 대한 공간적 접근성을 탐색하였다. 또, 이동 수단(도보, 차량)에 따라 공간적 접근성에 차이가 발생함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도보와 차량을 이용하는 경우 모두 평일 야간과 주말의 접근성이 크게 감소하여 야간과 주말의 의료 인프라 제공 보완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동 수단에 따라 공간적 접근성의 분포가 다른 양상을 보이므로 의료 서비스 보완 대책에 차이를 두어야 함을 보여준다.
The continuous low birth rates in South Korea led to a decline in infant and pediatric medical infrastructure and personnel. As a result, there is temporal imbalances due to gap in medical infrastructure, except during weekdays daytime. Since the demand of ‘After-hours care(AHC)’ exists continuously,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measure spatial accessibility to healthcare services during weekdays daytime, nighttime, and weekends to provide proper services. In this study, using 2SFCA(Two-Step Floating Catchment Area), we explore spatial accessibility to infant and pediatric medical infrastructure during weekdays daytime, nighttime, and weekends in Seoul. Additionally, we consider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spatial accessibility depending on transportation modes(walking and drive). The results show that accessibility during nights and weekends is significantly decrease compared to weekdays in both walking and driving, indicating the necessity of supplementing the provision of healthcare services. Furthermore, this study shows that spatial accessibility patterns differ depending on the mode of transportation, suggesting that healthcare service supplementation strategies should be adjusted according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