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유아교사의 디지털 교수효능감과 디지털 놀이지원 역량의 관계에서 변화개방성과 전문성 지원환경의 매개효과 KCI 등재

The mediating effects of openness to change and professional support environ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digital teaching efficacy and their digital play support capabil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880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8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디지털 교수효능감과 디지털 놀이지원역량의 관 계에서 변화개방성과 전문성 지원환경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D시와 S시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직중인 유아교사 16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병렬다중매개모형을 분석하기 위 해 Hayes(2018)의 PROCESS Macro Model 4가 적용되었다. 분석 결 과, 유아교사의 디지털 교수효능감, 변화개방성, 전문성 지원환경, 디지 털 놀이지원역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유아교사의 전문성 지원환경이 디지털 교수효능감과 디지털 놀이지원역 량 간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교 사의 디지털 놀이지원역량 향상을 위하여 디지털 교수효능감과 전문성 지원환경을 중요 변인으로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결과는 유 아교사의 디지털 놀이지원역량 증진을 위한 실질적이고 유용한 기초자료 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s of openness to change and professional support environ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digital teaching efficacy and their digital play support capability. The study analyzed data from 165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in D City and S City. To examine the parallel multiple mediation model, Hayes' (2018) PROCESS Macro Model 4 was applied. The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digital teaching efficacy, openness to change, professional support environment, and digital play support capability. Furthermore, the professional support environment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teaching efficacy and the digital play support capability. The findings suggest that digital teaching efficacy and professional support environment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 variables for enhancing early childhood teachers' digital play support capability.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모형
    2. 연구대상
    3. 측정도구
    4. 자료수집 절차 및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1.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2. 디지털 교수효능감과 디지털 놀이지원역량이 관계에서 변화개방성과 전문성 지원환경의 매개효과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
  • 박진성(한국침례신학대학교) | Park JinSung (Korea Baptist Theologic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