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우리동네키움센터 종사자의 직무만족이 서비스 품질을 매개하여 이용자의 서비스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impact of job satisfaction of employees at Our Neighborhood Kium Center on service effectiveness of users through service qual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881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7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형 우리동네키움센터 종사자의 직무만족이 이용 자의 서비스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 서비스 품질의 매개효 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형 우리동네키움센터 종사자와 이 용자 20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자료는 SPSS 26.0 을 이용하여 기술분석, 신뢰도분석, 회귀분석,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형 우리동네키움센터 종사자의 직무 만족은 서비스 품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서울형 우리 동네키움센터 종사자의 서비스 품질이 서비스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셋째, 서울형 우리동네키움센터 종사자의 직무만족과 이용자의 서비스 효과성 관계에서 서비스 품질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서울형 우리동네키움센터의 서비 스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종사자의 직무환경을 개선하고, 이용자의 특성 을 고려한 서비스 개선에 대한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job satisfaction of Seoul-type Kiwoom Center workers on the service effectiveness of user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rvice quality.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206 employees and users of the Kiwoom Center in our Seoul-type neighborhoo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job satisfaction of workers at the Seoul-type Kiwoom Center in our neighborhood affects service quality.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service quality of Seoul-type Kiwoom Center workers affects service effectiveness. Thir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mediating effect of service qua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of Seoul-type Kiwoom Center workers and the service effectiveness of us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order to increase the service effectiveness of the Seoul-type Kiwoom Center, practical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service environment of workers an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users were presented.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서비스 효과성
    2. 직무만족
    3. 서비스 품질
    4. 직무만족, 서비스 품질과 서비스 효과성의 관계
Ⅲ. 연구방법
    1. 연구 모형
    2. 연구 대상 및 자료수집
    3. 측정도구
IV. 연구결과
    1. 주요변수의 기술 통계
    2. 직무만족이 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
    3. 서비스 품질이 서비스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4. 직무만족과 서비스 효과성 관계에서 서비스 품질의 매개효과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이시내(숙명여자대학교) | Lee Shie Nae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김옥녀(숙명여자대학교) | Kim Ock Nyu (Sookmyung Women's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