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elderly's creative characteristics,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 on life satisfaction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ex -
본 연구는 노인의 창의적 특성과 문화 예술적 경험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 향에서 성별 조절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수도권에서 노인복지시설을 이용하는 노 인 365명을 SPSS 22.0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 창의적 특성에서 유창성, 융통성, 개방성은 노인 생활만족도에 유의 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독창성과 도전성은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화예술 경험에서 창작 경험 은 정적인 영향, 감상경험은 부적인 영향을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셋째, 개인 창의적 특성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별은 유의한 조절 효과가 나타났다. 넷째, 문화예술 경험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별은 유의한 조절 효과가 나타났다.
This study used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the elderly's creative characterist ics,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 on life satisfaction : focusing on the moderati ng effect of gender. This study aims to study gender moderating effects in the creative characteristics of elderly and the influence of literary and artistic experiences on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analyzed 365 elderly using welfare faciliti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s SPSS 22.0 First, fluency, flexibility, and openness in individual creative characteristics have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But, ingenuity and challenge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Second, in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s, creative experiences have a positive effect and appreciation experiences have a nega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ird, gender ha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in the influence of individual creative characteristics on life satisfaction. Fourth, gender ha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in the impact of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s on living satisf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