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장자 관물·제물사상 연구 - 「제물론」을 중심으로 KCI 등재

Zhuangzi Even Thing and Observe Thing thought Research : At the Center fo ‘Qiwulun’ (On the Equality of All Thing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887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300원
中國學 (중국학)
대한중국학회 (Korean Association For Chinese Studies)
초록

장자(莊子)·제물론(齊物論)은 3천 여자로 이루어진 소박한 대화와 자연현상, 몽 환(夢幻)의 경지를 드나드는 언어를 통해 깊은 철학의 이치와 자연이 가르치는 자유 평등(自由平等)의 사상을 일깨워 준다. 「제물론(齊物論)」은 근본의 추구에 대한 종합 적인 문장으로 장자(莊子)철학과 도가(道家)사상의 정수(精髓)라고 할 수 있다. 노 장(老莊)사상은 자기주장과 그것의 실천을 강조하는 유·묵가(儒·墨家)와는 다른 도가 (道家)철학의 초탈(超脫)을 내세움으로써 형이상학(形而上學)적인 관점으로 부터 사 회문제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고 있다. 장자(莊子) 사상연구는 소요유(逍遙遊), 도 (道), 제통(齊通) 등에 집중되어 있으면서 ‘물(物)’이라는 요소와 깊이 연관되어 있다.

The ‘Zhuangzi’ chapter ‘Qiwulun’ (On the Equality of All Things) uses simple dialogues, natural phenomena, and dreamlike states woven into its language to convey profound philosophical principles and awaken ideas of freedom and equality taught by nature. As a comprehensive piece on the pursuit of the fundamental, ‘Qiwulun’ is considered the essence of ‘Zhuangzi‘’’s philosophy and Daoist thought. The Lao-Zhuang philosophy, unlike Confucianism and Mohism which emphasize self-assertion and practical application, advocates for the transcendence of Daoist philosophy offering answers to social issues from a metaphysical perspective. Research on ‘Zhuangzi‘’’s thought focuses on concepts like ‘Xiaoyaoyou’ (Free and Easy Wandering), Dao, and ‘Jitong’ (Universal Harmony), closely relating these to the element of ‘things’ (物).

목차
【초록】
1. 서론
2. 부르면 이름이 되는 만물(物謂之而然)
3. ‘물(物)’의 관점에서 바라본 세계
    1) 경계가 없는 시작(未始有封)
    2) 경계가 없는 시작(未始有封)
4. 관물(觀物)과 제물(齊物)
5. 결론
【참고문헌】
【논문초록】
저자
  • 이광혁(호남대학교 중국어학과 교수) | Lee Gwang-Hyuk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