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중국인 유학생 수용 ‘장’에서 문화자본의 작동방식 - 20세기 초 홋카이도제국대학의 경우를 중심으로 KCI 등재

How “Cultural Capital” Works in the “Field” of Accepting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 Based on the Case of Hokkaido Imperial University in the Early 20th Centur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888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700원
中國學 (중국학)
대한중국학회 (Korean Association For Chinese Studies)
초록

20세기 초 일본에서 중국인 유학생들을 위해 설립되었던 속성교육기관들은 이들의 ‘문화자본’ 획득에 있어서 복합적인 ‘장’ 구조를 형성하였는데, 이러한 교육 ‘장’은 유 학생들의 제국대학 입학에 필요한 ‘문화자본’이 ‘재생산’되는 ‘장’으로 기능했다. 즉, 이들의 ‘문화자본’은 일본 학교 ‘장’을 중심으로 일본 국내사회 ‘장’과 중일 양국의 국 제사회 ‘장’의 중첩되는, 또는 포괄적인 교집합의 접점에서 작동되었다. 이러한 복잡 한 ‘장’ 구조에서 경제적 ‘장’의 논리는 타 ‘장’들을 점차적으로 포위해 가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부르디외가 모든 자본의 근본은 경제적 자본에 있다고 주장했던 바 와 같이 ‘경제자본’이 ‘문화자본’으로 전환되는 메커니즘을 보여주고 있다.

Preliminary educational institutions established for Chinese students in Japan in the early 20th century formed a complex field structure in acquiring their ‘cultural capital’, which functioned as a ‘Field’ in which the ‘cultural capital’ required for international students to enter imperial universities was ‘reproduced’. In other words, their ‘cultural capital’ operated at the interface of overlapping or comprehensive intersections between Japanese domestic social ‘Field’ and international social ‘Field’ between Japan and China, centering on Japanese school ‘Field’. In this complex ‘Field’ structure, the logic of economic ‘Field’ tended to gradually surround other ‘Fields’, showing the mechanism by which ‘economic capital’ is converted into ‘cultural capital’, as Bourdieu argued that the root of all capital lies in economic capital. As such, Bourdieu‘s theories such as ’cultural capital‘, ’field‘, and ’reproduction‘ provide an important interpretive framework for exploring the dynamics of complex field in the overseas movement of intellectual groups beyond educational sociological discussions of acquiring ’cultural capital‘ by international students in specific countries.

목차
【초록】
1. 서론
2. 제국대학 입학을 위한 문화자본
3. 문화자본과 경제자본의 상관관계
4. 결론
【참고문헌】
【논문초록】
저자
  • 최리나(세한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조교수) | Cui Li-Na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