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남북한 청년과 디아스포라 청년의 복음통일 준비 과정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Process of Preparing Gospel-Centered Unification among Young People from South Korea, North Korea, and the Diaspor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890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800원
선교신학 (Theology of Mission)
한국선교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ission Studies)
초록

본 연구는 남한에서 복음을 경험한 청년, 북한에서 출생하여 중국 및 제3국을 거쳐 복음을 경험한 청년, 그리고 남한에서 태어나 해외에서 복음을 경험한 청년들을 인터뷰하여, 국내외적으로 복음적 통일을 준비하기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복음적 통일의 준비를 위해, 한국 교회와 한인 디아스포라 교회는 다음 세대 청년들을 위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첫째, 남한, 북한, 디아스포라 청년들이 상호 문화를 이해하고 소통하며 서로를 격려할 수 있는 공간, 가칭 ‘KNDS(Korea, North Korea, Diaspora, Space)’ 를 조성해야 한다. 둘째, 남북한 청년들과 디아스포라 청년들이 함께 참여하여 복음적 통일의 비전을 공유하고 실천할 수 있는 복음통일 캠프를 계획하고 실행해야 한다. 셋째, 메타버스(metaverse) 플랫폼 을 구축하여 남북한과 디아스포라 청년들이 사이버 공간에서 지속적으 로 대화하고 생각을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해야 한다. 청년들이 복음과 사랑을 기반으로 소통하고 연대할 때, 복음적 통일은 더욱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directions for preparing gospel-centered unification through interviews with three groups: South Korean youth who experienced the gospel, North Korean defectors who encountered the gospel after passing through China and third world countries, and South Korean youth who embraced the gospel abroad. To achieve this, the Korean church and diaspora churches must implement strategies for the next generation. Key proposals include creating a space called ‘KNDS’(Korea, North Korea, Diaspora, Space) for cultural exchange and support, organizing gospel mission camps for youth from South and North Korea and the diaspora, and establishing a metaverse platform for dialogue and idea-sharing. When young people unite through gospel-centered communication and love, the path to unification can be expedited.

목차
한글 초록
Ⅰ. 들어가는 말
Ⅱ. 개념적 틀과 선행연구 분석
    1. 디아스포라의 정의
    2. 복음통일
    3.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론
    1. 사례 연구의 의의
    2. 연구 참여자 선정
    3. 자료수집 및 분석
    4. 연구의 질 검증
Ⅳ. 연구 결과 분석
    1. 연구 참여자 A의 사례
    2. 연구 참여자 B의 사례
    3. 연구 참여자 C의 사례
    4. 연구 참여자 A, B, C의 사례에 대한 분석
Ⅴ. 나가는 말
주제어
Abstract
참고 문헌
저자
  • 권오성(숭실대학교 박사) | Kwon O Sung (Soongsil University, PhD) Corresponding author
  • 임재환(숭실사이버대학교 교수) | Lim Jae Hwan (Soongsil Cyber University, Professor)
  • 이정환(숭실대학교 박사과정) | Lee Jung Hwan (Soongsil University, PhD candidate)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