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세계기독청년컨퍼런스(1939)와 수잔 드 디트리히의 공헌 KCI 등재

World Conference of Christian Youth(1939) and the Contributions of Suzanne de Dietrich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891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900원
선교신학 (Theology of Mission)
한국선교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ission Studies)
초록

본 연구는 1939년 암스테르담에서 개최된 제1차 세계기독청년컨 퍼런스(World Conference of Christian Youth)와 수잔 드 디트리히 (Suzanne de Dietrich)의 공헌을 역사적으로 고찰하고, 현대 한국교 회에 주는 실천신학적 함의를 분석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역사적 문헌분 석을 채택하여 WCC 아카이브의 1차 사료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했다. 연구 결과, 이 컨퍼런스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첫째, 수잔의 성서 연구 방법론은 모든 참여자의 목소리를 존중하는 대화식 접근을 통해 성경해석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둘째, 참가 청년들은 수잔이 창설한 CIMADE(Comité Inter-Mouvements Auprès Des Évacués, CIMADE)를 통해 나치의 박해를 피해 도망치 는 유대인들을 보호하는 등 구체적 실천으로 나아갔다. 셋째, 컨퍼런스 에 참여했던 열정적인 청년들은 후일 각국 교회와 국제 에큐메니칼 운동의 핵심 지도자로 성장하며, 교회일치운동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이러한 역사적 경험은 오늘날 한국교회가 추구해야 할 에큐메니칼 운동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며, 교회 일치와 사회 변혁을 위한 청년들의 우정과 동행이 여전히 중요한 동력임을 보여준다.

This study historically examines the World Conference of Christian Youth in 1939 and Suzanne de Dietrich’s contributions, analyzing their practical theological implications for contemporary Korean churches. Through historical document analysis of primary sources from the WCC archives, the study reveals three significant aspects: Suzanne’s Bible study methodology opened new horizons in biblical hermeneutics through a dialogical approach that respected participants’ voices; participating youth took concrete action through CIMADE, founded by Suzanne, to protect Jews fleeing Nazi persecution; and the conference participants later became key leaders in national churches and international ecumenical movements. These historical experiences suggest new directions for the ecumenical movement that contemporary Korean churches should pursue, demonstrating that friendship and accompaniment among youth remain crucial driving forces for church unity and social transformation

목차
한글 초록
Ⅰ. 서론
Ⅱ. 제1차 세계기독청년컨퍼런스의 역사적 배경
    1. 1930년대 국제 정세와 제2차 세계대전의 전조
    2. 에큐메니칼 운동의 발전과 청년운동
    3. 세계기독청년 컨퍼런스의 조직과 준비과정
Ⅲ. 수잔 드 디트리히의 삶과 활동
    1. 성장 배경
    2. 수잔의 사상과 신학적 특징
    3. 에큐메니칼 운동 참여
Ⅳ. 수잔 드 디트리히의 공헌과 영향
    1. 전체 컨퍼런스 준비위원회 실행위원
    2. 성서 연구 프로그램 내용
    3. 수잔 드 디트리히의 공헌
Ⅴ. 결론
주제어
Abstract
참고 문헌
저자
  • 김은하(장로회신학대학교 객원교수, 역사신학) | Kim Eunha (PUTS, Church History)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