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유진 벨의 생애와 사역에 대한 고찰: 광주선교부를 중심으로 KCI 등재

A Study of Eugene Bell’ Life and Work: Focusing on Gwangju St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891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900원
선교신학 (Theology of Mission)
한국선교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ission Studies)
초록

유진 벨(Eugene Bell)은 1895년 조선에 입국하여 1925년 세상을 떠나기까지 전남 선교를 위해 활약하였다. 그래서 그는 ‘전남 선교의 대부’로 불리기도 한다. 본 논문은 유진 벨의 생애와 사역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20세기 미국 남장로교 선교가 어떤 신학과 정책으로 결과를 이루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그의 한국 입국 전의 배경, 한국 입국 후의 나주, 목포, 광주지역의 선교사역 등 생애 전체를 개괄하며 그의 지나온 삶의 궤적을 추적하였다. 특별히, 유진 벨이 1904년부터 사역을 하였던 광주선교부를 중심으로 광주제일교회 및 양림교회 등의 교회개척 및 목회사역, 수피아여고 및 숭일학교 등의 교육선교, 그리고 광주기독병원 등 의료선교를 논하였다. 끝으로 그의 삶과 선교사역 전반에 대한 선교신학적 면에서 칼뱅주의 장로교신학과 에큐메니칼의 한계, 선교전략적인 면에서 네비우스 원리와 선교적 리더십, 선교역사적인 면에서 세계선교의 소명과 한국교회의 과제를 평가하였다. 이러한 고찰은 한국교회와 세계선교의 방향성에 시사점을 주리라 기대한다.

Eugene Bell arrived Korea in 1892 and dedicated himself to mission work in Jeollanam-do until his passing in 1925. This paper aims to explore how Christianity has transformed, adapted, and grown within the context by examining Bell“s life and ministry. First, it outlines his background and missionary work of Naju, Mokpo, and Gwangju. The focus then shifts to his contributions at Gwangju Station from 1904, highlighting his effort in evangelism, educational missions and the medical missions, Finally, the paper evaluates Bell’s life and ministry by analyzing his missiology, methods, and missionary movements. This study aims to provide valuable insights to guide the future direction of both the Korean church and global missions.

목차
한글 초록
I. 들어가는 말
II. 유진 벨의 생애
    1. 한국 오기 전의 유진 벨
    2. 유진 벨의 서울 도착과 목포까지
    3. 유진 벨의 광주선교부와 하나님의 부르심
III. 유진 벨의 선교사역
    1. 목회사역
    2. 교육 선교
    3. 의료선교
IV. 유진 벨의 생애와 사역에 대한 선교적 평가
    1. 선교신학적 측면: 칼뱅주의 장로교신학과 에큐메니칼의한계
    2. 선교 전략적 측면: 네비우스 원리와 선교적 공동체
    3. 선교역사적 측면: 세계선교의 소명과 한국교회의 과제
V. 나오는 말
주제어
Abstract
참고 문헌
저자
  • 이선이(호남신학대학교 교수, 선교신학) | Seonyi Lee (Pf. Honam Theological University and Seminary, Missiology)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