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ERRC 분석을 통한 K-Pop 아이돌의 혁신 전략 연구 : 非한국인 걸그룹 'XG' 사례를 중심으로 KCI 등재

An Analysis on Innovation Strategy of K-Pop Idol Through ERRC Grid : Focused on Non-Korean Girl Group 'X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936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100원
한국과 세계 (Korea and World Review)
한국국회학회 (Korea Society of Assembly Studies)
초록

본 연구는 전원 일본인으로 구성된 XG의 사례를 ERRC Grid 모델로 분석 하여 K-Pop 아이돌의 가치 혁신 전략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지시적 내용분석을 채택하고 2017년부터 2024년까지의 관련 자료에 대한 문헌분석과 전문가 및 소비자 대상의 심층 인터뷰를 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거(Eliminate)’ 전략을 통해 한국어와 일본어 사용을 완전히 배제하고 영어 가사만을 활용했으며, 한국 현지 트레이닝 대신 하 이브리드 트레이닝 시스템을 구축했다. 둘째, ‘감소(Reduce)’ 전략으로는 개인 SNS 운영과 일상 콘텐츠를 최소화하고 K-Pop 걸그룹의 전통적 이미 지인 '귀여움', '청순함'을 축소했다. 셋째, ‘증가(Raise)’ 전략에서는 디지 털 미학을 강화하고, 2~3초마다 새로운 구도를 형성하는 혁신적 퍼포먼스 를 개발했다. 마지막으로 ‘창조(Create)’ 전략으로는 K-Pop, J-Pop, 미국 프로듀싱 시스템을 결합한 초국적 제작시스템을 구축하고, 게임과 융합한 메타버스 콘텐츠를 개발했다. 요약하면 XG는 문화적 정체성의 모호성을 오히려 강점으로 활용해 특정 국가나 문화권에 한정되지 않는 글로벌 콘텐 츠를 지향함으로써, K-Pop이 더이상 한국에 국한된 문화콘텐츠가 아닌 글 로벌 엔터테인먼트산업의 새로운 표준이 될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analyzed the case of XG, an all-Japanese girl group, using the ERRC Grid model in the K-pop idol industry. The research methodology included content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s. First, through the Eliminate strategy, XG completely excluded the use of Korean and Japanese languages, utilizing only English lyrics, and established a hybrid training system instead of local Korean training. Second, the Reduce strategy minimized traditional K-pop girl group images of 'cuteness' and 'innocence', while limiting individual SNS operations and daily content. Third, the Raise strategy strengthened digital aesthetics and developed innovative performances forming new formations every 2~3 seconds. Finally, the Create strategy established a transnational production system combining K-pop, J-pop, and American producing systems, while developing metaverse content integrated with the gaming industry. Based on these findings, XG effectively utilized the ambiguity of cultural identity as a strength. By pursuing global content unrestricted by specific nations or cultures, they demonstrated that K-pop could evolve beyond Korean cultural content to become a new standard in the global entertainment industry.

목차
논문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K-Pop 아이돌
    2. K-Pop 아이돌의 탈국적화
    3. ERRC 모델
Ⅲ. 연구 설계 및 분석
    1. 연구 대상
    2. 연구 문제
    3. 연구 방법 및 자료 수집
    4. 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
  • 김기창(홍익대학교) | Kee-Chang Kim (Hongik University)
  • 홍수자(홍익대학교) | Soo-Ja Hong (Hongik University)
  • 김선영(홍익대학교) | Sung-Young Kim (Hongik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