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의 부상과 한국의 기업 공공외교 KCI 등재

The Rise of the Global South and Korea’s Corporate Public Diplomac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954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0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한국 정부는 2010년부터 외교의 한 축으로 공공외교를 추진해 왔다. 2020년대 글로벌 사우스의 국제정치적 영향력이 강화하면서 한국의 공공 외교는 혁신방안을 고민해야 할 처지에 놓여 있다. 본 논문은 국가행위자 중심의 기존 공공외교 전략의 성과와 한계를 성찰하고 기업 공공외교의 유용성을 탐색했다. 기업외교의 세부 영역에 관한 통계자료를 분석함으로 써 거시적 차원에서 한국 공공외교의 개선책을 찾아보았다. 분석에 따르 면, 한국 기업들의 문화후원 활동은 국내 사업에 99% 집중되어 외국 대중 을 향한 해외 후원은 미미하다. 사회공헌 분야에서도 해외 프로그램은 전 체의 5% 수준에 머물러 있다. 한편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은 주요국 평 균 수준에 그치고 있으며, 특히 중소기업의 참여율은 하위권에 있다. 따라 서 한국 공공외교의 새로운 돌파구로서 기업외교의 잠재력이 실현되려면 글로벌 사우스에 대한 문화후원 및 사회공헌 활동이 더욱 확대되어야 한 다. 중소기업의 글로벌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 제고도 요구된다. 정부의 대응자금 증액과 세제 혜택, 맞춤형 컨설팅 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 아울 러 기업 공공외교의 보편적 가치 설정과 글로벌 사우스에 관련된 지식 인 프라를 보강할 필요가 있다.

The Korean government has been promoting public diplomacy as a new axis of diplomacy since 2010. In the 2020s, as the international influence of the Global South has strengthened, Korea is in a position to seek a more innovative public diplomacy. Therefore, this paper explored the usefulness of corporate public diplomacy based on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the existing public diplomacy strategy which was governed mainly by state actors(i.e., the central government). Analyses of statistical data from a macro perspective show that 99% of corporations’ cultural support programs are domesticoriented, but foreign activities toward the foreign public are trivial. In terms of social contribution performance, overseas programs remain at 5% of the total. Levels of participation of Korean SMEs in the UN Global Compact is still quite low. Thus, a new corporate diplomacy as a breakthrough for Korean public diplomacy needs to expand cultural and social contribution programs toward the Global South, and to increase SMEs’ participation in global CSR activities. Provision of increased matching funds, tax benefits and tailored consulting services will be useful. Also, the normative and knowledge base for corporate diplomacy should be strengthened.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글로벌 사우스와 공공외교 환경 변화
    1. 글로벌 사우스의 부상 원인
    2. 글로벌 사우스의 외교적 도전
Ⅲ. 공공외교의 개념적 이해
Ⅳ. 한국의 기업 공공외교 전략
    1. 한국 공공외교의 성과
    2. 한국 공공외교의 한계
    3. 한국의 기업외교 발전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
  • 김치욱(울산대학교) | Chi-Wook Kim (University of Uls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