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반복적 영화관람 경험의 본질과 의미 : 현상학적 연구 KCI 등재

The Essence and Meaning of Repetitive Movie Viewing Experiences : A Phenomenological Stud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954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0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반복적 영화관람 경험의 본질과 그 문화적, 심리적, 사회적 의미를 탐구하였다. 반복관람은 단순한 영화 소비 행위를 넘어 관람객들 에게 정서적 안정, 감정적 카타르시스, 사회적 교류와 같은 다차원적인 가치를 제공하는 행위로 나타났다. 현상학적 연구 방법론을 활용하여 최 근 2년간 동일 영화를 4회 이상 반복관람한 10명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반복관람 경험의 본질적 구조를 도 출하였다. 연구 결과 반복관람은 관람객들이 영화의 세부적인 디테일, 숨 겨진 상징성, 감독의 의도를 새롭게 이해하도록 돕는 동시에, 감정적 몰 입과 캐릭터와의 정서적 유대를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람객들은 반복관람을 통해 자신만의 심리적 안정과 창의적 영감을 얻었으며, 스트 레스 해소 및 일상에서 벗어난 정서적 만족을 경험하였다. 또한, 반복관 람은 친구, 가족, 연인과의 관계를 증진시키고, 영화 감상 경험을 공유하 는 사회적 상호작용의 기회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경험은 단순한 콘텐츠 소비를 넘어 관람객의 개인적, 사회적, 문화적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 쳤다. 본 연구는 반복관람이 영화산업의 지속 가능성과 관객 경험의 질 적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강조하며, 이를 결과로 향후 영화 콘텐츠 제작 및 마케팅 전략 개발을 위한 실질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essence and cultural, psychological, and social significance of repetitive movie viewing. Repetitive viewing transcends simple consumption, providing audiences with multidimensional values such as emotional stability, catharsis, and social interaction. Employing a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participants who had watched the same movie at least four times within the past two years. The essential structure of their experiences was analyzed. Findings reveal that repetitive viewing deepens understanding of movie details, hidden symbolism, and directorial intent while enhancing emotional engagement and bonds with characters. It serves as an emotional outlet, offering personal stability, creative inspiration, and stress relief. Additionally, repetitive viewing fosters stronger relationships through shared experiences and social interact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repetitive viewing positively influences audiences’ personal, social, and cultural lives. This study underscores its potential to sustain the film industry and improve audience experiences, offering insights for future content development and marketing strategies.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반복관람의 심리적 가치
    2. 반복관람과 사회적 관계 형성
    3. 기존 연구 및 본 연구의 차별점
    4. 반복관람과 영화에 대한 인지적 이해
    5. 반복관람의 연구 필요성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1. 구성요소 도출 과정
    2. 영화 반복관람 경험의 상황적 구조와 의미
    3. 영화 반복관람 경험의 일반적 구조
Ⅴ. 결론
    1. 이론적 시사점
    2. 실무적 시사점
    3. 영화 반복관람의 경험적 가치
<참고문헌>

저자
  • 박종은(홍익대학교) | Jong-Eun Park (Hongik University)
  • 고정민(홍익대학교) | Jeong-Min Ko (Hongik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