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정보통신기술(ICT)이 재가노인 돌봄에 미치는 긍정 적인 영향을 실증적으로 확인하고, 이를 통해 고령자의 건강, 안 전성, 삶의 질 향상과 돌봄 제공자의 효율성 증대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K도 G군에서 디지털 돌봄을 받고 있는 재가노인 16명과 ICT 기술 활용 경험이 있는 돌봄 종사자 16명이다. 연 구 기간은 2024년 12월 25일부터 2025년 1월 31일까지(약 2 개월)였으며, 연구 결과 ICT 기술은 고령자의 건강 관리와 사고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실시간 모니터링 및 데이터 분석을 통해 효율적인 건강 관리를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ICT 기술은 자율성 향상, 신체적·정신적 건강 개선, 여가 및 사회적 참여를 유도하여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였다. 사회적 고립감 해소 측면 에서도 ICT 기술은 사회적 상호작용을 촉진하며 외로움 극복에 도움을 주었다. 더불어 ICT 기반 돌봄 서비스는 돌봄 제공자의 업무 효율성과 경제적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였다. 본 연구는 ICT 기술을 활용한 돌봄 시스템의 확대 및 발전의 필요 성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d the positive impac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on home-based elderly care, analyzing its effects on improving the health, safety, and quality of life of older adults, as well as enhancing the efficiency of caregivers. Participants included 16 elderly individuals receiving digital care in G County, K Province, and 16 caregivers with experience utilizing ICT technology.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December 25, 2024, to January 31, 2025 (approximately two months). The findings indicate that ICT plays a crucial role in managing the health of older adults and preventing accidents, enabling efficient healthcare management through real-time monitoring and data analysis. Moreover, ICT contributes to improved autonomy, physical and mental well-being,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and social engagement, thereby enhancing overall quality of life. In addressing social isolation, ICT facilitates social interaction and helps alleviate loneliness. Additionally, ICT-based care services have been shown to improve both the operational efficiency and economic sustainability of caregivers. This study emphasizes the necessity of expanding and advancing ICT-based care syst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