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하늘의 언어와 하늘의 역사 KCI 등재

The Language of Heaven and the History of Heave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020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100원
문학과 종교 (Literature and Religion)
한국문학과종교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Literature and Religion)
초록

이 글은 인문학의 학문적 자산으로서 ‘하늘의 언어와 하늘의 역사’ 자료를 환 기하고 그에 대한 자료 접근력과 관점의 다양화 모색을 펼친 서술이다. 하늘이 궁극의 존재라는 점을 잘 알지만 우리 역사 속에서 어떤 구체성으로 묘사되었 고 그리고 어떠한 언설로 표출되어 왔는지를 학술적으로 접근하는 개관적 시도 이다. 이에 천지인 삼재관과 지저세계관의 유입 문제를 통해 전통적 하늘관을 동서비교 관점에서 들여다보고, 수평과 수직의 공간 우주론을 대비하여 고대 하 늘 인식의 구조를 드러내며, 한국 고대인이 묘사한 수직 하늘 공간론이 신라 선 덕왕릉의 사천왕-제석천주 모형으로 또는 불교적 수요 9층천설의 황룡사 구층 탑으로 구현되는 면모를 짚어보았다. 그러나 조선시대 성리학 사회에서 하도·낙 서의 수비주의적 도식학이 만개하면서 하늘과의 교통이 상실되는 문화상을 읽 게 되고, 그에 무관하지 않은 궁극론 측면에서 척도의 혼란과 한달 시간학의 부 재 현상을 함께 논의하였다. 이를 통해 수천년 한자시대에서 근대 한글시대를 구가하는 우리 시대에 하늘의 언어와 역사 현장을 논의하는 하늘 논장 곧 학문 적 천론의 활성화가 필요함을 역설하고자 하였다.

This article is a study that seeks the materials of ‘The Language of Heaven and the History of Heaven’ as an academic asset of the humanities and explores the diversification of the approach to the materials and perspectives. It is an attempt to approach the academic in an overview study, although it is well known that the heaven is the ultimate being, with what specificity it has been described with and what kind of speech has been expressed in our history. Through the problem of the introduction of the view of the three forces of heaven, earth, and man and the view of the underworld, the traditional view of heaven is examined from an East-West comparative perspective, and the structure of the ancient perception of heaven is revealed by comparing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pace cosmologies. Through this, this paper tries to emphasize the need for the revitalization of academic celestial theories, that is, discussions on the language of heaven and the historical site, in our era, which has been lived in the modern Hangul era after the Chinese character era that lasted thousands of years.

목차
Abstract
I. 서론
II. 천지인 삼재관과 지저세계관의 유입
III. 수평의 하늘과 수직의 하늘
IV. 한국 고대인의 수직 하늘 공간론
V. 조선시대 하늘의 상실과 수비주의 도식학의 만개
VI. 척도의 혼란과 기준의 아노미
VII. 조선시대 한달 시간학의 시간 질서 부재
VIII. 결론
Works Cited
국문초록
저자
  • 김일권(Professor of Folklore Studies at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 Kim Il-gw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