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심리적 특권의식이 심리적 계약위반과 정치행동,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An Effects of Psychological Entitlement on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Political Behavior and Deviant Behavio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039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000원
인적자원관리연구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orean Academ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초록

본 연구는 심리적 특권의식이 심리적 계약위반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심리적 계약위반이 정치행동과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심리적 특권의식과 정치행동, 일탈행동 사이의 관계에 서 심리적 계약위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마지막으로 심리적 특권의식과 심리적 계약위반 사이의 조 절변수로 상호작용 공정성의 역할을 실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을 위해 25개 기업 278명의 종업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 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적 특권의식은 심리적 계약위반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호작용 공정성은 심리적 특권의식과 심리적 계약위반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심리적 특권의식이 심리적 계약위반을 증가시키는 부정적인 영향은 상호작용 공정성 이 낮을 때 보다 높은 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심리적 계약위반은 정치행동과 개인 및 조직 일탈행동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심리적 계약위반은 심리적 특권의식과 정치 행동과 일탈행동 사이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심리적 특권의식은 심리적 계약위반을 통 해 정치행동과 개인 및 조직 일탈행동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심리적 특권의식과 종업원의 태도와 행동 변수들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계약위반의 매개효 과를 검증하고, 심리적 특권의식과 심리적 계약위반의 관계에서 상호작용 공정성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 로 검증함으로써 심리적 특권의식 연구 분야의 이론적 확장에 기여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론적, 실 무적 시사점을 논의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psychological entitlement has an impact on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and to spell out how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affects political behavior and deviant behavior. We also attempt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sychological entitlement and political behavior and deviant behavior. Additionally, this study focuses on interactional justice as a possible moderator between psychological entitlement and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To test the proposed hypotheses in our study, we collected data via a survey with a sample of 278 employees in 25 Korean compan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Psychological entitlement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Interactional justice had the negativ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sychological entitlement and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suggesting that the negative effects of psychological entitlement on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lessened as levels of interactional justice increased. Psychological entitlement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political behavior and deviant behavior. In addition,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has turned out to have a full or partial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entitlement and political behavior, as well as between psychological entitlement and deviant behavior. That is, this result indicated that psychological entitlement effects on political behavior and deviant behavior in both direct and indirect ways through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This study has made several tentative contributions to the literature on psychological entitlement. This study is one of the few to have tested the moderating effects between psychological entitlement and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and further sheds light on the contingent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with a empirical design. The findings of the mediation analyses are the primary contribution of this study since little research examined a mediation model.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findings are discussed,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ovided.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1. 심리적 특권의식과 심리적 계약위반
    2. 상호작용 공정성의 조절효과
    3. 심리적 계약위반과 정치행동
    4. 심리적 계약위반과 일탈행동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연구표본
    2.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도구
    3. 타당성과 신뢰도
Ⅳ. 연구결과
    1. 연구대상
Ⅴ. 결론 및 시사점
참 고 문 헌

저자
  • 이준희(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 Lee Junhee
  • 김형진(전남대학교 경영대학 학술연구교수) | Kim Hyungji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