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노인의 디지털 기기 활용이 노인복지서비스 인지를 매개로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Effect of Elderly Digital Device Usage on Subjective Health : Mediating Effect of Elderly Welfare Service Awarenes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048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600원
한국과 세계 (Korea and World Review)
한국국회학회 (Korea Society of Assembly Studies)
초록

우리의 일상 곳곳이 디지털화 되어가고 있지만, 노인의 경우 이를 수 용하고 활용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하지만, 디지털 기기 활용은 정보격 차 더 나아가 건강 격차로도 이어질 수 있다고 보고 이를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23년 노인실태조사를 활용하였고, 65세 이상 노인 을 대상으로 SPSS PROCESS macro model 4를 통해 분석하였다 (N =9,951).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디지털 기기 활용 수준이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둘째, 노인의 디지털 기기 활용 수준이 높을수록 노인복지서비스의 인지 수준 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셋째, 노인의 디지털 기기 활용 수준이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높았는데, 노인복지서비스 인지가 이 둘 간의 관계를 유의미하게 매개하였다. 이에 기반하여 디지털 기기 활용이 갖는 중요한 의미를 논의하고, 디지털 기기 활용 격차를 줄이기 위한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at the use of digital devices can lead to information gaps and even health gaps. This study utilized the 2023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and analyzed the elderly aged 65 or older through SPSS PROCESS macro model 4(N =9,951).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level of elderly people's digital device utilization, the more significantly their subjective health status increased. Second, the higher the level of elderly people's digital device utilization, the higher the level of awareness of elderly welfare services. Third, the awareness of elderly welfare services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s use of digital devices and subjective health. Based on this, the influence of the elderly's use of digital devices was discussed and related policies were proposed.

목차
논문요약
I. 서론
II. 이론적 고찰
    1. 디지털 기기, 노인복지서비스, 주관적 건강 개념과 활용
    2. 선행연구 고찰
III. 연구방법
    1. 분석자료 및 분석대상
    2. 연구모형 및 분석방법
    3. 변수 설명
IV. 분석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매개모형 분석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
  • 오유라(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 Oh-Youra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천화진(성남시의회) | Chun-Hwajin (Seongnam city council)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