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갤러리카페의 체험 요소가 재방문의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Effect of Experience Factors on Revisit and Purchase Intention in Gallery Café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049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400원
한국과 세계 (Korea and World Review)
한국국회학회 (Korea Society of Assembly Studies)
초록

본 연구는 갤러리카페의 체험 요소가 재방문의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설문조사와 SPSS 25.0을 활용한 독립 표본 t -test,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 회귀분석, 3단계 매개회귀분석 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갤러리카페의 재방문의도에는 미적, 엔터 테인먼트, 현실도피, 교육 체험 순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둘째, 구매의도에는 미적, 현실도피, 교육, 엔터테인먼트 체험 순 으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재방문의도는 체험 요소와 구매의도 간의 관계 를 부분 매개하며, 이는 긍정적인 체험을 지속할수록 구매 행동으로 이어 질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한다. 넷째, 중소 도시에서 수도권보다 교육 체험 과 현실도피 체험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점은 문화·예술 공간이 부족 한 지역일수록 갤러리카페가 대체 공간으로 기능할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 준다. 다섯째, 중소 도시 방문자의 재방문의도가 수도권보다 높게 나타난 점은 갤러리카페가 단순한 전시 공간을 넘어 교육적·몰입형 체험을 제공하 는 공간으로 발전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따라서 갤러리카페는 미적 체험을 중심으로 감각적 즐거움을 극대화하고, 교육적 가치와 몰입형 체험을 강화 하는 전략을 통해 방문자의 재방문과 구매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콘텐츠 개발과 소비자와의 정서적 연결을 강화하는 마케팅 전략을 도입함으로써 예술 매개 플랫폼으로서의 지속 가능한 경쟁 력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

As consumers increasingly seek memorable experiences, industries are focusing on experiential marketing. This study conducted quantitative research to analyze the impact of experiential elements in gallery cafés on revisit intentions and purchase intentions. As a result, the experience factor of the gallery café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revisit and purchase intention. Furthermore, revisit intentions were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tial elements and purchase intentions, indicating that visitors who continuously experience positive interactions are more likely to engage in purchasing behaviors. Additionally,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educational and escapist experiences were relatively higher than in metropolitan areas, and revisit intentions were also higher. This suggests that gallery cafés have the potential to evolve beyond mere exhibition spaces into venues offering educational and immersive experiences. Therefore, gallery cafés must maximize sensory enjoyment, enhance educational and immersive experiences, and adopt regionally tailored content and marketing strategies to secure sustainable competitiveness as art-mediated platforms.

목차
논문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갤러리카페
    2. 체험경제
    3. 미술 전시공간의 체험 양상
    4. 카페에서의 체험 양상
    5. 체험경제와 재방문의도
    6. 체험경제와 구매의도
    7. 재방문의도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Ⅲ. 연구 방법 및 분석
    1. 연구 모형 및 가설
    2. 연구 방법
    3. 기술 통계 분석
    4. 상관관계 검증
    5. 가설의 검증
Ⅳ. 결론
<참고문헌>

저자
  • 백지연(홍익대학교) | Baek Ji-Yeon (Hongik University)
  • 김선영(홍익대학교) | Kim Sun-Young (Hongik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