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토픽모델링과 의미연결망 분석에 의한 국내 한류 연구 동향 분석 KCI 등재

A Study on Hallyu Research Trends in South Korea Using Topic Model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049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400원
한국과 세계 (Korea and World Review)
한국국회학회 (Korea Society of Assembly Studies)
초록

본 연구는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하여 국내 한류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4년부터 2024년까지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에 발표된 KCI 등재 학술논문 중 ‘한 류’를 검색어로 1,793편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분석대상은 논문명, 주제어, 초록 등이며, 분석도구로는 소프트웨어 R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한류 소비국가에서의 콘텐츠 소비와 한국어 학습과의 상호 작용을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한류 콘텐츠의 디자인과 제작 방식이 주목받으며, 이에 대한 저작권 이용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므로 글로벌 시장 에서의 디자인 및 제작 전략을 정교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콘 텐츠의 창의성이 한류의 핵심 경쟁력임을 고려하고, 시청자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확산 전략을 모색해야 한다. 넷째, 한류가 국가 브랜드 형성에 미 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특히 관광 및 화장품과 같은 소비재 산업과의 연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한류 연구가 콘텐츠 및 시장 중심의 담론에서 정 책적, 제도적 관점의 담론으로 진화하고 있음을 감안하여 한류의 지속가능성 을 위해서는 경제적 관점과 제도적 관점을 분리하기보다 서로 상호보완적이 며 다학제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제도적 관점에서의 한 류 연구에서 연구 간 데이터 및 지표 활용과 같이 정보흐름이 더욱 강화되 어야 한다. 본 연구는 한류 연구의 동향과 주요 연구주제를 분석함으로써 한 류연구의 현재와 향후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analyzes trends in domestic Hallyu research using big data analysis and suggests future research directions. A total of 1,793 KCI-indexed academic articles published between 2014 and 2024 were collected from RISS using the keyword “Hallyu.” Titles, keywords, and abstracts were analyzed using R software.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should examine the interaction between Hallyu content consumption and Korean language learning in major consumer countries. Second, as the design and production of Hallyu content gain attention, refining global strategies for copyright utilization is crucial. Third, fostering audience engagement and diffusion strategies is essential, given that creativity is a key competitive advantage of Hallyu. Lastly, Hallyu’s role in national branding should be analyzed, particularly in relation to tourism and consumer goods. As Hallyu research shifts from market-centered to policy and institutional discourse,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integrating economic and institutional perspectives is needed for sustainability. Enhancing data and indicator utilization in institutional studies will further strengthen research.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into the current state and future directions of Hallyu research by analyzing key trends and topics.

목차
논문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한류의 전개 과정
    2. 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선행 연구
III. 연구방법 및 분석
    1. 연구방법
    2. 분석 대상과 자료수집
    3. 분석 과정
IV. 분석 결과
    1. 키워드 분석 결과
    3. 토픽모델링 분석 결과
    4. 의미연결망 구조 분석 결과
V.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이주빈(홍익대학교) | Lee Ju-Bin (Hongik University)
  • 김선영(홍익대학교) | Kim Sun-Young (Hongik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