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ANOVA를 활용한 도로 이용자의 노면 상태 및 노면표시 만족도 차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ifferences in Road Users' Satisfaction with Pavement Condition and Road Markings Using ANOV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0522
모든 회원에게 무료로 제공됩니다.
한국도로학회 (Korean Society of Road Engineers)
초록

본 연구는 도로 보수 후 새롭게 도입되거나 개선된 도로안전시설 중 노면표시와, 안전운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도로 노면 상 태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를 연령 및 업종별로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운전자 430명을 대상으로 5점 리커트 척도 설문을 시행하고, SPSS 27.0을 이용해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과 사후 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노면표시(크기·선명도·야간시인성)는 업종별(관 리·사무·전문직, 운전직, 학생 등)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연령대별로는 10대가 노면표시 크기에 가장 만족도가 높았으며 고령층으 로 갈수록 낮아졌다. 또한 운전직의 만족도가 전반적으로 낮아 노면표시가 실제 주행에 크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연령별·업종별 특성을 고려한 도로환경 및 정책 개선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저자
  • 정민준(전남대학교 토목공학과 학사과정) | Jung Min Jun
  • 백성채(전남대학교 건축토목공학과 박사수료) | Baek Seong Chae
  • 최세령(전남대학교 도시방재안전협동과정 석사과정) | Choi Seryeong
  • 박제진(전남대학교 토목공학과 부교수) | Park Je Ji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