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노후준비교육이 비혼 중년여성의 노화불안 감소에 미치는 효과 KCI 등재

Effect of Successful Aging Preparation Education on Reducing Aging Anxiety Among Unmarried Middle-aged Wome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067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000원
미래교육연구 (The Journal of Future Education)
한국미래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of Future Edcation)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노후준비교육이 비혼 중년여성들의 노화 불안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함에 있 다 실험집단은 비혼 중년여성으로 통제집단은 기혼 . , 중년여성으로 균등하게 배정하여 각각 10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통제집단의 사전-사후검사를 비교하는 혼합설계 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 서 적용한 측정도구는 노화불안 척도이며,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노 화 불안에 대한 인식을 비교하기 위해서는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량으로 하는 공변량분석을 적용하였 다. 노후준비교육 프로그램은 비혼 중년여성의 노화 불안 인식 전체 점수뿐만 아니라 노화 불안을 구 성하는 하위요인 모두에서도 유의미한 감소를 가져왔다. 노후준비교육에 참여한 중년여성의 노화 불안 인식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후준비교육 프로그램은 중년여성의 삶의 질 인식 향 상, 노화 불안 감소, 성공적 노화 기대 증진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이라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successful aging preparation education on reducing aging anxiety among unmarried middle-aged women.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unmarried middle-aged women, and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10 married middle-aged women, equally assigned to each group. A mixed design method was applied to compare the pre-and post-test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measurement tool applied in this study is the aging anxiety scale, and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verifi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o compare perceptions of aging anxiety, covariate analysis was applied using pre-test scores as a covariate. The successful aging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 resulted in a significant decrease not only in the overall score of unmarried middle-aged women’s perception of aging anxiety, but also in all sub-factors that constitute aging anxiety. It was found that middle-aged women who participated in successful aging preparation edu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preception of aging anxiety. The successful aging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 can be seen as an effective program for improving middle-aged women’s awareness of quality of life, reducing anxiety about aging, and increasing expectations for sucessful aging.

목차
요 약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비혼중년여성
    2. 노화불안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실험설계
    3. 측정 도구
    4. 노후준비교육 프로그램
    5. 연구 절차
    6. 자료 분석
Ⅳ. 연구결과
    1. 노인에 대한 두려움 관련 노화 불안 인식 변화
    2. 심리적 불안정 관련 노화 불안 인식 변화
    3. 신체적 외모에 대한 두려움 관련 노화 불안 인식 변화
    4. 상실에 대한 두려움 관련 노화 불안 인식 변화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안은미(한국교통대학교 초빙교수) | An Eunm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