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대학생의 그릿코칭역량과 디지털리터러시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Grit Coaching Competency and Digital Literacy on Academic Self-Efficac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071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100원
코칭연구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한국코칭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of Coaching)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그릿코칭역량과 디지털리터러시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 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학생 287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WIN 29.0을 활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 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의 그릿코칭역량과 디지털리터러시는 학업적 자기효능 감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그릿코칭역량의 하위 요인 중 성장 마인드, 열정과 도전, 존중과 신뢰의 순으로 학업적 자기효능 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디지털리터러시의 하위 요인 중 데이터 활용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 그릿코칭역량이 디지털리터러시보다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대학 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증진하기 위해 그릿 기반 코칭 프로그램과 데이터 활용 역 량을 배양하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와 대학 교육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grit coaching competency and digital literacy on academic self-efficacy, providing foundational data for developing programs to enhance it. A survey of 287 students was analyzed using multiple regression in SPSS WIN 29.0. Result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grit coaching competency, digital literacy, and academic self-efficacy. Among grit coaching components, growth mindset, passion and challenge, and respect and trust significantly influenced academic self-efficacy. In digital literacy, data utilization was a key factor. Regression analysis confirmed that grit coaching competency had a greater impact than digital literacy. These findings offer insights for developing grit-based coaching programs and educational initiatives that foster students’ data utilization skills. The study also presents practical implications for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designing effective strategies to support students’ academic success by strengthening both grit and digital competenc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대학생의 그릿코칭역량
    2. 대학생의 디지털리터러시
    3.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Ⅲ.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도구
    3. 자료 분석
Ⅳ. 연구 결과
    1. 대학생의 그릿코칭역량, 디지털리터러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일반적 경향
    2. 대학생의 그릿코칭역량, 디지털리터러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상관관계
    3. 대학생의 그릿코칭역량과 디지털리터러시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미치는 영향
Ⅴ.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정을균(남서울대학교 대학원 코칭학과 박사과정) | Joung Eul-Kyun (Doctoral Student, Department of Coaching, Namseoul University)
  • 도미향(남서울대학교 아동복지학과, 대학원 코칭학과 교수) | Do Mi-Hyang (Professor, Department of Coaching, Namseou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