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군(軍) 조직 내 리더 코칭에 관한 탐색적 연구 KCI 등재

An Exploratory Study of Leader Coaching in Military Organization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071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800원
코칭연구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한국코칭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of Coaching)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군 조직 내 리더 코칭에 관한 연구를 탐색해 보고 향후 군 조직에서 리더 코칭에 관한 연구 및 활용 방안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24년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문헌 17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출판 현황은 2007년에 시작하여 2015년부터 본격적 인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학술지 12편, 학위논문 5편이 게재되었다. 둘째, 연구 방법 면에서는 질적연구가 6편, 양적연구가 5편, 프로그램 개발 연구가 6편이었 다. 연구 대상은 간부가 6편, 간부와 병사가 3편, 병사가 1편, 생도 및 군사학 관 련 학생이 4편, 문헌이 3편이었다. 셋째, 연구 주제별로는 정책 및 제도 개선 제 안이 5편, 코칭 행동과 타 변인의 관계가 5편,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분석이 7편이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리더십과 코칭의 이론적 토대 강화와 후속 연 구를 통한 연구 목적 달성, 다양한 연구 방법론의 적용과 연구의 확대, 코칭 문 화 확산과 코칭 대상 및 연구 참여자 확대, 민간 코칭과 군 조직의 협력적 연구 확대 등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군 조직 내에서 리더 코칭 을 보다 유용하게 활용하고 조직 구성원의 성장과 조직 목표 달성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 데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existing research on leader coaching within military organizations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al applications. Seventeen studies published in South Korea between 2000 and 2024 were analyzed for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and findings. Coaching-related research began in 2007 and expanded notably after 2015, resulting in 12 journal articles and 5 master’s theses. Methodologically, the studies included 6 qualitative, 5 quantitative, and 6 experimental designs focused on program development. Thematically, 5 studies addressed policy and system improvements, 5 examined relationships between coaching behaviors and other variables, and 7 evaluated coaching programs and their effectiveness. Future research should reinforce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leadership and coaching, employ diverse methodologies, promote a coaching culture, broaden participant groups, and encourage collaboration between military and civilian coaching field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현재까지의 리더 코칭 연구 성과
    1. 문헌의 일반적 특성
    2. 문헌의 주요 연구 결과
Ⅴ. 리더 코칭 활성화를 위한 제언
    1. 리더십과 코칭의 이론적 토대 강화와 후속 연구를 통한 연구 목적달성
    2. 다양한 연구 방법론의 적용과 연구의 양적 · 질적 확대
    3. 코칭 문화 확산과 코칭 대상 및 연구 참여자 확대
    4. 민간 코칭과 군 조직 코칭의 협력적 연구 확대
Ⅵ.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이주영(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상담코칭학과 박사과정) | Lee Ju Young (Doctoral Student, Department of Counseling & Coaching, Dongguk University)
  • 이송이(동국대학교 다르마칼리지 부교수) | Lee Song Yi (Assistant Professor, Dharma College, Dongguk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