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Incense Culture of the Tang Dynasty Imperial Court -Focusing on the Incense Vessels Excavated from the Hejia Village(何家村) Hoard-
본 연구는 당대(唐代) 문헌기록과 하가촌(何家村) 출토 향구(香具)를 토대로 당 황실의 향문화 특징을 시론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정사(正史)와 문학작품에 등장하는 당 황실의 향 문화 관련 문헌자료를 정리하고, 황실에서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 섬서(陝西) 서안(西安) 하 가촌 교장 출토 은제 향구를 분석하여 당 황실의 향문화 양상을 복원한 것이다. 당대는 중국의 향문화가 본격적으로 발전한 시기로 당 황실과 귀족은 향문화 발전에 있어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당 황실은 불교와 도교의 분향 의식에서 영향을 받아 조회, 생일, 제사, 상장례 등에서 향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사용하였다. 궁중 내 거주 공간을 비롯해 일 상생활에서 사용하는 물품, 착용하는 의복, 행차 시 이용하는 교통수단 및 오락 활동 등에서 도 향이 다양하게 활용되었다. 이는 육로와 해로를 통한 이국의 다양한 향료가 대량으로 유 입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회ㆍ문화적 배경 속에서 황실에서 제작되고 사용된 금속제 향 구 중 일부가 하가촌 교장에서 출토된 은제 향구이다. 따라서 하가촌 향구는 당 전반기 금속 공예품의 제작 기술과 특징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당시 궁중의 향사용 양상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유물이기도 하다.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ng Dynasty’s incense culture based on documentary records from the Tang Dynasty and incense vessels excavated from the Hejia Village(何家村) Hoard. It organizes documentary materials related to the incense culture of the Tang imperial court appearing in official histories and literary works, and analyzes silver incense vessels excavated from the Hejia Village Hoard in Xi’an, Shaanxi, which are presumed to have been used in the imperial court. It reconstructs the aspects of the Tang Dynasty’s incense culture. The Tang Dynasty was a period when the incense culture of China developed in earnest, and the Tang imperial court and aristocracy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development of incense culture. The Tang imperial court actively introduced and used incense in ancestral rites, ancestral worship, birthday celebrations, court meetings, funerals, and other events influenced by Buddhist and Taoist incense rituals. Incense was also utilized in various ways in daily life, including living spaces within the palace, items used in everyday life, clothing worn, transportation used during travels, and entertainment activities. This was because various spices from foreign countries were imported in large quantities via land and sea routes. Some of the metal incense vessels produced and used in the imperial court within this social and cultural context are the silver incense vessels excavated from the Hejia Village Hoard. Therefore, the incense vessels from the Hejia Village Hoard not only show the production techniques and characteristics of metal crafts in the early Tang Dynasty but also provide important relics that offer insight into the use of incense in the palace at tha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