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cing the Source of Chaekgado in the Joseon Dynasty -Focusing on Chinese Bookshelf Paintings Extant in Europe-
책가도는 조선 후기 상당히 유행하였던 새로운 장르의 그림이다. 소재와 형식 면에서 중 국과 관련성을 보이고 당시 빈번했던 중국과의 교류를 통해 조선에 전해지게 된 것으로 그 기원을 중국에 두고 발전된 것이라고 생각되어 왔다. 지금까지 연구에서 책가도의 기원에 대 해 책가도와 부분적으로 개연성을 보이는 중국의 다양한 예들이 제시되어 왔지만 직접적인 관련성을 보여주는 사례는 거의 없었다. 때문에 책가도의 제작에 참고가 된 중국의 사례에 대해서 구체적이고 심도 있는 논의가 진행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18세기 유럽으로 수출된 중국 기물을 도해한 중국 책장 그림은 유럽 건축의 벽지로 사용되기도 하였으며 현재까지 전 해져 오고 있다. 이 그림들은 연대가 추정이 가능한 18세기 작품들로 조선시대 책가도가 유 행하기 시작하는 18세기 후반과 시간적으로 가까우며 투시도법과 명암법, 눈속임 기법 등 회화적인 기법이나 양식과 소재에서 책가도와 아주 유사한 면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유럽에 전해지는 중국 책장 그림들은 책가도의 원류와 관련이 있다 할 수 있다.
The Chaekgado (冊架圖) is a new genre of painting that gained significant popularity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In terms of both subject matter and format, it exhibits a connection to Chinese art and is believed to have been introduced to Korea through frequent cultural exchanges with China at the time. It has long been assumed that its sources lie in China, where it was developed before being transmitted to Joseon. However, previous studies on the source of Chaekgado have highlighted various Chinese examples that demonstrate partial connections to this genre, but no direct evidence of a specific link has yet been identified. Consequently, detailed and in-depth discussions on the Chinese source of Chaekgado remain underdeveloped. Nevertheless, the Chinese bookshelf paintings, which depict Chinese objects and were exported to Europe in the 18th century, were used as wallpapers in European architecture and still exist today. These paintings are temporally close to the late 18th century, when Chaekgado began to gain popularity in Joseon, and they share striking similarities with Chaekgado in artistic techniques, such as perspective, chiaroscuro, and trompe-l’oeil, as well as stylistic and thematic elements. In this respect, the Chinese bookshelf paintings found in Europe can be regarded as a potential source of Chaekga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