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남극 로스해 보퍼트 섬 인근에서 고해양 환경변화 해석을 위한 규조 연구 KCI 등재

Diatom Research to Interpretation of Paleoenvironmental Changes in Beaufort Island, Ross Sea, Antarctic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109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남극 로스해 보퍼트 섬 인근에서 획득한 코어퇴적물로부터 고환경변화를 복원하기위해 규조를 분석하였다. RS19-GC09코어로부터 총 27속 5 7종의 규조를 감정하였으며, 규조의 생산성을 나타내는 개체수 농도는 0.01-28.75×107/g 범위에 해당하였다. 규조의 수직분포 변화를 토대로 4개의 군집대를 설정하였다. 해빙종(Sea-ice species: TC); Fragilariopsis curta, Fragilariopsis linearis, Fragilariopsis obliquecostata, Fragilariopsis ritscheri와 Pseudo-nitzschia turgiduloides)와 공해종(Open water species: TW); Fragilariopsis kerguelensis, Thalassiosira lentiginosa, Thalassiosira antarctica와 Rhizosolenia styliformis)의 산출을 대자율(Magnetic Susceptibility; MS)과 총유기탄소(Total organic carbone; TOC)값과 비교하였다. 군집대 I은 낮은 TC, TW와 TOC를 보이고, 반대로 높은 MS 곡선을 나타내어 두꺼운 해빙 또는 빙붕 하부 환경에 해당하였다. 군집대 II는 높은 TC, 증가하는 TW와 TOC, 반대로 낮아지는 대자율을 나타내어 계절적인 해빙의 지속기간이 길고 분포가 확장되었다. 군집대 III은 감소된 TC, 높은 TW과 TOC, 가장 낮은 곡선의 MS를 보 이는 구간으로 공해환경의 지속기간이 길었던 시기이다. 군집대 IV에서는 TC의 증가와 반대로 TW가 감소 하며, TOC 값은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지 않고, MS가 약간 상승하는 시기로서 다시 해빙의 지속기간이 길어 졌음을 나타낸다.

Diatoms were analyzed to determine paleoenvironmental changes in core sediments obtained near Beaufort Island in the Ross Sea. A total of 57 species belonging to 27 genera were identified from the RS19-GC09, and the number of diatom valve abundance ranged from 0.01 to 28.75×107/g. Four assemblage zones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vertical distribution curves of diatom. The occurrence of sea ice species (TC; Fragilariopsis curta, F. linearis, F. obliquecostata, F. ritscheri, and Pseudo-nitzschia turgiduloides) and open water species (TW; F. kerguelensis, Thalassiosira lentiginosa, T. antarctica, and Rhizosolenia styliformis) was compared with magnetic susceptibility (MS) and total organic carbon (TOC) values. Diatom assemblage zone I showed a high MS curve, contrary to low TC, TW, and TOC corresponding to heavy sea-ice or sub-ice shelf conditions. Diatom assemblage zone II showed high TC, increasing TW and TOC values, and conversely, decreasing MS values indicating a long duration of seasonal sea-ice and an expanded distribution. Diatom assemblage zone III showed decreased TC, high TW and TOC, and the lowest MS curve, indicating a long period in an open water environment. Diatom assemblage zone IV showed a period of decreasing TW, conversely increasing TC, no noticeable change in TOC, and slightly increasing MS, again indicating a period of long sea-ice duration.

목차
Abstract
요 약
서 론
연구 지역 및 연구 방법
    연구 지역
    연구방법
결과 및 토의
    규조 군집대
    규조 군집대 I (330-190 cm)
    규조 군집대 II (190-130 cm)
    규조 군집대 III (130-70 cm)
    규조 군집대 IV (70-0 cm)
    고환경 및 토의
결 론
사 사
참고문헌
저자
  • 박영숙(전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구환경과학과, 5489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백제대로 567) | Young-Suk Bak (Department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Je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54896, Korea) Corresponding author
  • 이재일(극지연구소 빙하지권연구본부, 21990,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미래로 26) | Jae Il Lee (Korea Polar Research Institute, Incheon 21990, Korea)
  • 유규철(극지연구소 빙하지권연구본부, 21990,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미래로 26) | Kyu-Cheul Yoo (Korea Polar Research Institute, Incheon 21990, Korea)
  • 김성한(극지연구소 빙하지권연구본부, 21990,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미래로 26) | Sunghan Kim (Korea Polar Research Institute, Incheon 21990, Korea)
  • 이민경(극지연구소 빙하지권연구본부, 21990,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미래로 26) | Min Kyung Lee (Korea Polar Research Institute, Incheon 21990,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