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과학교사의 과학 정체성 탐색 KCI 등재

Exploring the Science Identity of Science Teache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110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의 과학 정체성에 비추어 과학교사의 과학 정체성, 즉 교사의 과학 정체성을 규명하고, 학생의 과학 정체성을 길러주기 위한 교사 과학 정체성을 신장하는 방안을 탐색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력 10년 이상의 중·고등학교 현직 과학교사 10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 심층 면담을 실시하고, 이를 질적 텍스트 분석 및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다차원적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로는 교사들은 교사 과학 정체성이 학생의 과학 정체성 형성에 있어서 ‘관심’ 차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과학교사의 과학 정체성은 ‘자기이해를 통한 과학 정체성 인식’, ’교사로서 정체성 일반’, ‘과학교사 교수역량’, ‘과학교사의 역할과 신념’, ‘과학교사의 과학적 탐구 능력’ 등의 다섯 가지 요인으로 구성됨을 확인하였다. 교사 정체성은 고정된 실체가 아니라 교직 경력 전반에 걸쳐 끊 임없이 변화하고 구성되는 역동적인 것으로, 전문성 개발을 위한 연수, 동료 교사와의 협력 및 소통, 수업 컨설팅과 자 기성찰을 통해 신장될 수 있다고 교사들은 제안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생 과학 정체성과는 달리 교육적 역량을 포함하는 복합적인 개념으로서 교사 과학 정체성의 의의, 학생 과학 정체성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교사 과학 정체성과 그 신장 방안, 교사경력 전반에 걸친 ‘되기(Becoming)’의 과정으로서 교사 과학 정체성 형성 등과 같은 결론과 후속 연구를 제시하였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cience identity of science teachers (teacher science identity) considering student science identity, and to explore method to enhance teacher science identity to foster student science identity. We conducted in-depth focus group interviews with 10 in-service science teachers in secondary schools with more than 10 years of experience, and analyzed the interview results multidimensionally through qualitative text analysis and keyword network analyses. The main research results identified that teachers recognized that teacher science identity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interest’ dimension in forming student science identity.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science identity of science teachers consists of five factors: ‘recognition of science identity through self-understanding’, ‘general identity as a teacher’, ‘science teacher teaching competency’, ‘role and belief of science teacher’, and ‘science teacher’s scientific inquiry competency’. Teachers suggested that teacher identity is not a fixed entity but constantly changes and is formed throughout the teaching career, and can be expanded through training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with fellow teachers, teaching consulting, and self-reflect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significance of teacher science identity as a complex concept that includes educational competency, unlike student science identity, teacher science identity as a factor influencing the formation of student science identity. Methods to improve this, and the formation of teacher science identity as a process of ‘becoming’ throughout the entire teaching career are presented as well as follow-up research.

목차
Abstract
요 약
I. 서 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및 논의
    1. 학생의 과학 정체성에 영향을 주는 교사 변인
    2. 교사 과학 정체성을 구성하는 요인
    3. 교사 과학 정체성 신장 방안
I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
  • 홍석영(한국교원대 부설고등학교, 28173,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강내면 태성탑연로 250) | Seok-Young Hong (Affiliated High School to KNUE, Cheongju 28173, Korea)
  • 김현종(경기과학고등학교, 16297, 경기도 수원특례시 장안구 수일로 135) | Hyunjong Kim (Gyeonggi Science High School for the Gifted, Suwon 16297, Korea)
  • 곽영순(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28173,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강내면 태성탑연로 250) | Youngsun Kwak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ju 28173, Korea) Corresponding author
  • 김민경(용인백현고등학교, 17003, 경기도 용인특례시 기흥구 동백7로 112) | MinKyoung Kim (Yongin Baekhyun High School, Yongin 17003,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