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 내 서어나무류 군락의 식생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부산 지역 내에서 서어나무류가 출현한 조사구(면적 100㎡) 56개를 설정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TWINSPAN과 DCA 분석을 통해 군락을 분리한 결과, 서어나무류-졸참나무(1) 군락, 서어나무류-졸참나무(2) 군락, 곰솔-서어나무류 군락, 서어나무류-굴피나무 군락으로 총 4개의 군락으로 나타났다. 군락Ⅰ과 군락Ⅱ는 서어나무류-졸참나무 군락으로 주로 북동사면의 내륙 산지 계곡부 일대에 넓게 분포하며, 서어나무류가 아교목층과 관목층에서도 높은 상대우점치를 보여 향후 서어나뮤류의 세력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군락Ⅲ은 곰솔-서어나무류 군락이며 고도가 낮은 해안가에 주로 분포한다. 해안가에 위치한 지리적 특성상 해안지역에 주로 분포하는 수종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산림천이 양상을 고려하였을 때 곰솔은 점차 쇠퇴하고 향후 극상수종인 서어나무류가 우점하는 식생으로 천이될 것으로 예상한다. 군락Ⅳ는 서어나무류-굴피나무 군락으로 해안 지역에 위치한 산지에 주로 분포한다. 서어나무류와 함께 굴피나무, 팥배나무 등 다양한 종류의 낙엽활엽 수가 분포하고 있다. 부산광역시 서어나무류 군락은 주로 해발고도가 낮은 계곡부 일대를 중심으로 지엽적으로 분포하 고 있으며 향후 극상림으로 발달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in order to understand the vegetation structure of the Carpinus spp. community in Busan Metropolitan City, a survey was conducted by setting up 56 plots of 100㎡ each where Carpinus spp. appeared in the Busan area. As a result of separating the communities through TWINSPAN and DCA analysis, a total of four communities were separated: Carpinus spp.-Quercus serrata(1) community, Carpinus spp.-Quercus serrata(2) community, Pinus thunbergii-Carpinus spp. community, Carpinus spp.-Platycarya strobilacea community. Communities I and Ⅱ are classified as Carpinus spp.–Quercus serrata communities which were widely distributed in the inland mountain valleys on the northeastern slopes. Carpinus spp. show high relative dominance in the understory and shrub layers, indicating that their dominance is likely to increase in the future. Community Ⅲ is classified as a Pinus thunbergii–Carpinus spp. community which is primarily distributed in low-altitude coastal areas. Due to its geographical location near the coastline, the community is composed of species commonly found in coastal regions. Considering forest succession trends, P. thunbergii is expected to gradually decline while Carpinus spp., a climax species, is anticipated to dominate the vegetation in the future. Community IV is classified as a Carpinus spp.–Platycarya strobilacea community which is primarily distributed in mountainous areas near coastal regions. Along with Carpinus spp., various deciduous broad-leaved species such as P. strobilacea and Sorbus alnifolia are also present. The Carpinus spp. communities in Busan Metropolitan City are primarily distributed in localized areas around low-altitude valleys. They are expected to develop into climax forests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