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InVEST 모델을 활용한 산림생물다양성 특정지역 생태계서비스 평가 - 서식지질과 탄소저장량을 중심으로 - KCI 등재

Evaluation of Ecosystem Services in a Specific Area of Forest Biodiversity Using InVEST Model - Focusing on Habitat Quality and Carbon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111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자연환경은 인간의 삶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혜택을 제공한다. 인간은 생태계로부터 직·간접적 인 혜택을 받는데, 이를 정량적으로 평가한 개념을 생태계서비스라고 한다. 본 연구는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습지보호 지역과 독특한 미기후현상으로 인해 북방계 및 고산식물이 잔존하여 보호 가치가 높은 풍혈지까지 3가지 유형을 대상으 로 생태계서비스를 평가하였다. 서식지질(Habitat Quality) 및 탄소저장량(Carbon)을 InVEST 모델을 활용하여 정량적 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 대상지는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가지산, 불모산, 가덕도), 습지보호지역(사자평, 신불산, 화엄 늪), 풍혈지(밀양 얼음골, 의성 빙계계곡, 함화산) 총 9개 지역으로 선정하였다. 서식지질 분석 결과, 전체 평균은 0.83으로 나타났으며, 보호지역 내부의 서식지질이 외부보다 전반적으로 높았지만, 사자평 고산습지의 경우 억새군락지 로 인해 인공초지가 포함되어 내부가 서식지질이 더 낮게 나타났다. 또한, 서식지질이 높을수록 대상지 면적이 증가하 며, 위협 수준이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는 인위적 간섭과 개발이 위협요인과 직결되며, 서식지질 저하와 대상지 의 면적이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탄소저장량 분석에서는 김해 불모산이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의성 빙계계곡이 가장 낮은 값을 기록하였다. 대상지 면적이 클수록 탄소저장량이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탄소저장량 구성 비율에서는 지상부 바이오매스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탄소저장량 변화를 살펴보았을 때, 사자평 고산습지가 가장 크게 감소하였는데, 인간의 간섭과 개발이 토지유형 변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산림생물다양 성 특정지역의 중요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함으로써 보호전략 수립에 필요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특히, 보호지역 후보지인 풍혈지에 대해 생태계서비스를 평가하여 향후 OECM 지정 가능성을 검토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보호지역의 다양성과 특수성을 고려한 맞춤형 보전 정책 수립에도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natural environment is closely linked to human life and provides various benefits, known as ecosystem services. This study evaluates three types of ecosystem services: Forest Genetic Resource Reserve (Mt. Gajisan, Mt Bulmosan., Gadeokdo Island), Wetland Protected Area (Sajapyeong Mountain Wetland, Mt. Sinbulsan Weltand, Hwaeomneup Wetland) and Wind-Hole (Milyang Ice Valley, Bing-gye Valley, Mt. Hamhwasan). Habitat Quality and Carbon Storage were quantitatively analyzed using the InVEST model. The habitat quality analysis results showed an overall average of 0.83, with higher values inside protected areas. However, Sajapyeong Mountain Wetland had lower internal quality due to the presence of artificial grasslands. Larger areas generally had higher habitat quality and lower threat levels. This confirms that human interference and development are direct threats and closely related to habitat degradation. In the carbon storage analysis, Mt. Bulmosan recoreded the highest value, while Bing-gye Valley had the lowest. Larger areas stored more carbon, with aboveground biomass contributing the most. Sajapyeong Mountain Wetland showed the largest decline in carbon storage, likely due to human-induced land changes. By quantitatively assessing the significance of specific forest biodiversity areas, this study provides scientific evidence essential for conservation strategy development. In particular, by evaluating ecosystem services in Wind-Hole, a potential candidate for protected area designation, this research can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assessing its potential as an OECM. Additionally, it is expect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establishing customized conservation policies that consider the diversity and uniqueness of protected areas.

목차
요 약
ABSTRACT
서 론
연구방법
    1. 연구대상지
    2. 분석방법
결과 및 고찰
    1. 서식지질 분석 결과
    2. 탄소저장량 분석 결과
    3. 종합고찰
REFERENCES
저자
  • 김경록(국립수목원 산림생물보전연구과 석사연구원) | Kyeong-Rok Kim (Forest Biodiversity Conservation Research Division,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11186, Korea)
  • 안종빈(국립수목원 산림생물보전연구과 임업연구사) | Jong-Bin An (Forest Biodiversity Conservation Research Division,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11186, Korea)
  • 김창선(국립수목원 산림생물보전연구과 임업연구사) | Chang-Sun Kim (Forest Biodiversity Conservation Research Division,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11186, Korea)
  • 신현탁(국립수목원 산림생물보전연구과 임업연구관) | Hyun-Tak Shin (Forest Biodiversity Conservation Research Division,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11186, Korea)
  • 최송현(부산대학교 조경학과 교수) | Song-Hyun Choi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Pusan National University, Miryang 50463, Republic of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