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PBL기반 혁신교수법이 대학생의 학습성과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KCI 등재

Effects of PBL-based innovative teaching methods on college students' learning outcomes and satisfaction : a case study of A Univers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115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7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A대학의 PBL기반 혁신교수법이 대학생의 학습성과와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은 2022년부터 2024년까지 PBL기반 혁신교수법이 적용된 강의를 수강한 514명의 학생이며, 사전-사후 설문을 통해 학습 역량 변화를 측 정하였다. 연구 결과,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학습능력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으며, 수업 만족도 평균도 4.52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특히, 학생 퍼실리테이터 활용, 팀 프로젝트 기반 학습, 경험학습 사이클 적용, 에듀테크 기반 수업 설계 등의 요소가 학습 성과 향상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온라인 학습 도구 활용 만족 도는 상대적으로 낮아 향후 개선이 필요함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의 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강의식 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고, 학습자 중심의 문제 해결형 수업 모델이 실제 대학 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둘째, 학생 퍼실리테이터, 에 듀테크, 경험학습 사이클 등을 통합한 구체적인 운영 사례를 제시함으로 써, 타 대학에서도 적용 가능한 실천적 교수 전략을 제공하였다. 셋째, 혁신교수법의 효과성 평가 체계와 개선 방향(예: 퍼실리테이터 양성, 실 습형 수업과의 연계 등)을 제안함으로써 향후 교육 정책 수립에 기초자 료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a PBL-based innovative teaching method at A University on students’ learning outcomes and course satisfaction. A total of 514 students who completed such courses between 2022 and 2024 participated in pre- and post-course surveys. Findings reveal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communication, problem-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ies. The average satisfaction score was high at 4.52. Key success factors included the use of student facilitators, team project-based learning, experiential learning cycles, and EdTech-driven instructional design. However, satisfaction with online learning tools was relatively low, highlighting the need for improvement.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supporting the effectiveness of learner-centered, problem-solving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It also offers practical teaching strategies and proposes a framework for evaluating and enhancing innovative teaching practices for future implementation and policy development.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PBL 이론
    2. 혁신교수법 이론
    3. A 대학의 PBL기반 학습자중심 혁신교수법 모형
Ⅲ.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및 자료 수집
    2. 연구도구
Ⅳ. 분석결과
    1. 학생 특성
    2. 학습성과 분석
    3. 수업만족도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
  • 박선향(경성대학교) | Seonhyang Park (Kyungsung University)
  • 윤혜림(경성대학교) | Haerim Yoon (Kyungsung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