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단기선교문제 해결을 위한 웨슬리안 선교신학적 원리 KCI 등재

Wesleyan Mission Theological Principles for Solving Short-Term Mission Problem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118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300원
선교신학 (Theology of Mission)
한국선교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ission Studies)
초록

한국 교회의 국내외 복음화 사역을 부흥시킨 주된 주역은 단연코 단기 선교 사역이다. 하지만 단기 선교 사역으로 인한 여러 구조적 문제와 한계가 오랜 시간 동안 지적되어 온 것도 사실이다. 대표적인 문제로는 단기 선교가 지닌 일회적이고 피상적인 성격, 현지 문화의 관습, 언어, 사회-정치적 상황, 전통, 상식 등에 대한 이해와 감수성 부족, 재정적 비용과 환경적 부담으로 인한 비효율성 문제가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를 검토하는 한편, 이에 대한 적절한 대응 방안으 로서 웨슬리안 선교 신학의 핵심 원리를 존 웨슬리의 설교와 논문, 그리고 국내 외 관련 연구를 통해 끌어낸다. 본 논문에서 필자가 제시한 핵심 원리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화의 원리, 둘째, 사랑으로 역사하는 믿음의 원리, 셋째, 청지기적 윤리관이다. 필자는 이러한 원리를 토대로 단기 선교가 단발적인 봉사나 참여자 중심의 체험 이벤트가 아닌 신자 개개인의 지속적인 신앙 성장과 현지 교회와의 긴밀한 공동체적 협력 및 신뢰 관계 구축을 견인할 실천과 훈련의 장으로서 활용될 실천 방안을 제시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structural limitations of short-term missions in Korean Protestantism. Then it suggests three Wesleyan theological principles to address them: sanctification, faith working by love, and stewardship. Drawing on John Wesley’s sermons and relevant scholarships, the study critiques short-term mission’s common issues, such as superficial relationships, cultural insensitivities, and resource inefficiencies. And it further studies how the missiological approach to Wesleyan theology can strengthen the sustainability and theological legitimacy of short-term missions, especially in the aftermath of the COVID-19 pandemic.

목차
한글 초록
I. 들어가면서
II. 코로나 19 전후 한국 개신교 단기 선교 활동의변화와 문제점
    1. 코로나 19 이전과 이후 단기 선교 활동의 변화
    2. 단기 선교의 구조적 문제점
III. 웨슬리의 신학과 사상에서 찾은 해결책:웨슬리안 선교 신학의 세 가지 원리
    1. 웨슬리 신학의 선교적 함의: 성화, 사랑으로 역사하는 믿음,청지기 정신
    2. 웨슬리안 ‘성화’ 원리의 단기 선교 적용 방안
    3. 웨슬리안 ‘사랑으로 역사하는 믿음’ 원리의 단기 선교 적용방안
    4. 웨슬리안 청지기적 윤리관의 단기 선교 적용 방안
IV. 나가면서
주제어
Abstract
참고 문헌
저자
  • 류재성(서울신학대학교 외래교수, 조직신학) | Ryu Jaesung (Seoul Theological University Lecturer, Systematic Theology)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