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A Case Report on the Diagnostic Utility of Vascular Morphological Imaging According to Acquisition Orientation of 3D MPRAGE Sequence in Pediatric Brain KCI 등재

소아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3D MPRAGE 시퀀스의 촬영 방향에 따른 혈관 형태 영상의 진단적 유용성의 사례 보고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287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R Technology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지)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R Technology)
초록

본 사례 보고는 소아 뇌 자기공명영상(MRI) 검사에서 협조가 원활하지 않아 움직임에 의한 인공물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시간차 자기공명혈관촬영(TOF MRA) 영상의 획득이 어려운 상황에서, 삼차원 구조화 자기공명영상(3D MPRAGE)을 수평면(axial) 방향으로 획득한 후 최대강도투사(MIP) 기법을 적용하여 혈관 형태를 성공적으로 시각 화한 사례를 소개하고, 그 임상적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영상 획득 시, TOF MRA는 약 7분, 3D MPRAGE는 약 4~5분의 검사 시간이 소요되었으며, 3D MPRAGE는 짧은 촬영 시간과 인코딩 방향 변경으로 인한 움직임 감소 효과를 보였다. 수평면 3D MPRAGE 영상은 주요 뇌혈관을 효과적으로 시각화하였고, 진단 해상도 면에서도 TOF 영상과 비교해 손색이 없었다. 본 사례 보고는 특히 협조가 어려운 1세에서 7세 사이의 소아 환자에서 3D MPRAGE 기반 MIP 영상이 TOF 영상의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혈류 흐름 방향에 맞추어 MPRAGE의 획득 단면을 조정하고 수평면 영상에 MIP 기법을 적용함으로써 뇌혈관 구조 시각화를 최적화할 수 있었다. 비록 미세혈관 표현에는 TOF 영상 대비 한계가 있었으나, 주요 대혈관 영상은 충분한 진단 정보를 제공하였다. TOF 영상 이 혈관에 특화된 반면, 3D MPRAGE는 뇌 실질 영상과 함께 뇌혈관 형태 영상까지 제공할 수 있어, 진정이 필요한 소아 환자에게 보다 유리한 대안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접근은 검사 시간을 단축시키고, 뇌혈관 질환과 관련된 부가 적인 임상 정보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영상의 진단적 가치를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This case report highlights the successful visualization of cerebral vasculature using maximum intensity projection (MIP) reconstructed from axial three-dimensional magnetization-prepared rapid gradient echo (3D MPRAGE) images. This was achieved during a pediatric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examination where poor patient cooperation led to motion artifacts and the inability to acquire time-of-flight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TOF MRA) images. During image acquisition, TOF MRA typically requires approximately 7 minutes, whereas 3D MPRAGE takes about 4?5 minutes. The shorter acquisition time and the ability to adjust the phase-encoding direction in 3D MPRAGE were crucial in reducing motion artifacts. The resulting axial 3D MPRAGE images effectively visualized major cerebral arteries and provided diagnostic image quality comparable to that of TOF MRA. This case suggests that 3D MPRAGE-based MIP imaging can be an effective alternative to TOF MRA, especially in pediatric patients aged 1 to 7 years who have limited cooperation. Optimizing vascular visualization was further achieved by aligning the MPRAGE imaging plane with the direction of blood flow and applying MIP reconstruction to the axial images. Although the depiction of small vessels was inferior to that of TOF MRA, the clear visualization of major arteries provided sufficient diagnostic information. While TOF MRA is specialized for vascular imaging, 3D MPRAGE offers the unique advantage of visualizing both parenchymal and vascular structures, making it a more favorable alternative for sedated pediatric patients. This approach is expected to enhance the diagnostic value of imaging by reducing scan time and providing additional clinical information related to cerebrovascular pathology.

목차
Abstract
서 론
사례 보고
    1. 검사 장비 및 영상획득 파라미터
    2. 사례 보고 영상
고 찰
결 론
References
국 문 요 약
저자
  • Jong-Hyeok Kwak(Department of Radiology, Pusan National University Yangsan Hospital) | 곽종혁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Gyeong-Rip Kim(Department of Neurosurgery Gamma Knife Center, Pusan National University Yangsan Hospital) | 김경립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신경외과 감마나이프센터)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