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해양과학관 및 기상과학관 전시물에 반영된 민주시민역량 및 과학커뮤니케이션의 탐색 KCI 등재

Exploring Democratic Citizenship Competencies and Science Communication Reflected in Exhibits of Ocean and Meteorological Science Museu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310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7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이 연구는 과학교육에서 강조하고 있는 민주시민교육이 학교 밖 교육기관인 과학관에서는 어떻게 구현되고 있 는지를 평가하고, 향후 과학관 전시 및 프로그램 개선 방향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사전에 분석 틀을 바탕으로 전시 내용을 코딩하여 분석하는 지시적 내용분석을 적용하였으며, 분석 자료의 시각화를 위해 기술통계학을 활용한 혼합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국내의 해양과학관과 기상과학관 각 1곳씩 총 2기관을 선정하여 총 150개 의 전시물을 분석하였다. 분석 도구는 선행연구(Lee, 2024; Park et al., 2018; Park et al., 2021)에서 제시된 민주시민 역량 분석 틀과 과학커뮤니케이션의 6요소, 그리고 전시유형 분석표를 기준으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부분의 전시물에서 민주시민역량의 정보처리능력과 과학커뮤니케이션의 개념요소가 지배적으로 발견되었다. 둘째, 전시 관람방 식은 대부분 수동적이어서 관람객이 능동적으로 전시물을 탐구할 기회가 제한적으로 나타났으며, 교육적 목적에도 탐구 보다는 설명 중심의 전시가 많아 민주시민역량과 과학커뮤니케이션 요소를 충분히 반영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과학관에서 민주시민역량함양을 효과적으로 함양하기 위해 필요한 과학커뮤니케이션 의 요소와 이를 반영할 수 있는 전시연출 방안을 제안했으며, 도슨트 프로그램 강화 및 과학대중화(PUS)를 목표로 한 전시의 필요성을 시사점으로 제시했다.

This study evaluate how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emphasized in science education, is implemented in science museums as out-of-school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o propose directions for improving exhibition design and programming in these settings. For this purpose, a directed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utilizing a pre-established analytical framework to code and analyze exhibition content. In addition, descriptive statistics were employed to visualize the data, resulting in a mixed-methods approach. The study targeted ocean and meteorological science museum in Korea and analyzed 150 exhibits. The analytical tools were developed based on previous research (Lee, 2024; Park et al., 2018; Park et al., 2021), incorporating a framework for democratic citizenship competency, six science communication elements, and an exhibition type classification scheme. The results revealed, first, that most exhibits predominantly reflected the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nd the conceptual element of science communication. Second, the majority of exhibitions employed passive viewing formats, limiting opportunities for visitors to actively engage with the exhibits. Third, despite educational objectives, many displays focused on explanation rather than inquiry, making it challenging to fully incorporate elements of democratic citizenship competency and science communic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poses key science communication elements and exhibition design strategies necessary for effectively fostering democratic citizenship competency in science museums. Furthermore, it highlights the need to strengthen docent programs and develop exhibitions aimed at promoting PUS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future practice.

목차
Abstract
요 약
서 론
연구 방법
    연구 대상
    분석 도구
    자료 수집 및 자료 분석
연구 결과 및 논의
    해양 및 기상 과학관 전시물에 나타난 민주시민역량
    해양 및 기상 과학관 전시물에 반영된 과학커뮤니케이션
    해양 및 기상 과학관의 전시 유형
논 의
결론 및 제언
사 사
References
저자
  • 박영신(조선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61452, 광주광역시 동구 조선대 1길 17) | Young-Shin Park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Chosun University, Gwangju 61452, Korea)
  • 이지연(조선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61452, 광주광역시 동구 조선대 1길 17) | Jiyeon Lee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Chosun University, Gwangju 61452,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