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메타버스(XR)를 적용한 해기 교육이 수업만족도와 친숙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Survey-based Study on the Impact of Integrating The Metaverse(XR) into Maritime Education on Class Satisfaction and Engine Room Familiar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316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해양환경안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초록

메타버스는 현실 세계가 확장된 가상 세계를 말하며, 해기 교육에서 시뮬레이터와 함께 디지털 신기술 기반의 새로운 학습 매 체로 활용할 수 있다. 현재 메타버스(XR)를 수업에 적용한 해기 교육 연구 사례가 드물며, 본 연구는 메타버스를 해기 교육 수업에 적용 했을 때 나타나는 학습적 효과를 학습동기, 상황적 흥미, 수업만족도, 친숙화 측면에서 적용하고자 하였다. 이에 360도 파노라마 이미지 기반의 메타버스 프로그램(XR)을 제작하여 B고등학교에서 해기 교육을 수료 중인 기관과 1학년 59명을 대상으로 수업을 실시하였다. 연 구 결과는 학습 동기가 상황적 흥미와 수업 만족도, 친숙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상황적 흥미의 경우 학습동기와 수업만족도 간의 관계를 매개함으로써 수업만족도를 더욱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The metaverse is a virtual world that expands upon the real world. In maritime education, along with traditional simulators, it can serve as a new learning medium based on digital new technologies. Currently, A few studies on maritime education have applied the metaverse (XR) and We attempted to apply the learning effects in terms of learning motivation, situational interest, class satisfaction, and familiarization that appear when applying the metaverse in a maritime education classes. To this end, we used a 360-degree panoramic-image-based metaverse program (XR) to conduct classes in a maritime education course comprising 59 first-year students at B high school. As a result of the study, learning motiv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ituational interest, class satisfaction, and familiarization. Situational interest played a role in further increasing class satisfaction by med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motivation and class satisfaction.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이론적배경
    2.1 학습동기
    2.2 상황적 흥미
    2.3 수업만족도
    2.4 친숙화
3. 연구 방법
    3.1 연구 개요
    3.2 수업 설계
    3.3 연구 모형 및 가설 설정
    3.4 측정 도구의 설정
    3.5 자료 수집 및 분석방법
4. 연구 결과
    4.1 측정 도구의 신뢰성 검증 결과
    4.2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4.3 경로분석 모형 분석 결과
5. 결 론
References
저자
  • 천종영(부산해사고등학교 교사) | Jong-Young Cheon (Division of Marine Engineering, Busan National Maritime High School, Busan 49111, Korea)
  • 임동녁(한국해양수산연수원 조교수) | Dongnyeok Lim (Division of Education planning, Korea Institute of Maritime and Fisheries Technology, Busan 49111, Korea)
  • 이창용(강원도립대학교 해양경찰과 조교수) | Chang-Yong LEE (Professor, Department of Maritime Police, Gangwon State University, Gangwon 25425,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