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초등학교 학부모의 학교참여와 부모 효능감이 학생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모형 비교를 중심으로 KCI 등재

The Effects of Parental Involvement and Parental Efficacy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hool Adjustment - A Model Comparison Approach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321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000원
미래교육연구 (The Journal of Future Education)
한국미래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of Future Edcation)
초록

본 연구는 생태학적 접근에 기반하여 초등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 325명의 응답을 분석함으로써, 학 부모의 학교참여와 부모 효능감이 학생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적으로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 로 하였다. 연구에서는 학교적응의 하위 영역(교사관계, 교우관계, 학교수업, 학교규칙)을 중심으로 구 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였으며, 총 네 가지 모형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학부모의 학교참 여는 학생의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부모 효능감은 모든 학교적응 영역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부모의 학교참여가 학생의 학교적응에 영향 을 미치는 경로에서 부모 효능감이 완전매개역할을 수행하였다. 넷째, 부모 효능감이 학교참여에 정적 영향을 미치긴 하나, 이를 매개로 한 학교적응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학부모의 학교참 여가 부모 효능감을 증진시키고, 이를 통해 학생의 학교적응을 간접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 다. 따라서 부모 효능감 증진을 유도할 수 있는 참여 기반의 정책 설계가 필요하며, 이는 가정과 학교 간 연계 강화를 통한 미래지향적 교육생태계 구축에 기여할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structurally examine the effects of parental school involvement and parental efficacy on elementary students’ school adjustment, based on an ecological approach. Data were collected from 325 paren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mploy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cross four subdomains of school adjustment: teacher relationships, peer relationships, classroom engagement, and compliance with school rules. Four competing models were compared to identify the most suitable structural path. The results showed: (1) parental school involvement did not have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students’ school adjustment; (2) parental efficac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ll subdomains of school adjustment; (3) parental efficacy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involvement and school adjustment; and (4) although parental efficacy positively influenced school involvement, school involvement did not significantly mediate the effect of parental efficacy on school adjustme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nhancing parental efficacy through school participation can indirectly improve students’ school adjustment. Therefore, policy initiatives should focus on promoting meaningful parent involvement as a strategy to strengthen home–school collaboration and support the development of a future-oriented educational ecosystem.

목차
요 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생태학적 관점에서 본 학교적응
    2. 미시체계로서의 부모 효능감
    3. 중간체계로서의 학부모 학교참여
    4. 학부모의 학교참여와 부모 효능감의 상호관련성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의 설정
    2. 연구대상 및 자료 수집
    3. 연구 도구
    4. 자료분석방법
Ⅳ. 연구 결과
    1. 측정모형의 검정
    2. 기술통계와 상관관계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안현지(상지대학교 교육학과 박사수료) | An Hyun-Ji
  • 전온리(한국외국어대학교 연구교수) | Jeon Onl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