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이민 세대에 따른 부모의 교육적 개입과 자녀 학업 성취도 간의 관계 : 미국 이민자 가정 연구 KCI 등재

Generational Differences in Parental Educational Engagement and Their Impact on Academic Outcomes among U.S. Immigrant Famili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321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0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미국 이민 부모의 이민 세대(1세대, 2세대, 3세대)에 따른 교육적 개입이 자녀의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민 세 대 간 차이가 개입 형태와 효과성에 어떻게 반영되는지를 규명하고자 한 다. 이를 위해 ELS:2002 데이터를 활용하여 총 12,433명의 고등학교 2 학년 학생과 부모를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SEM)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1세대 부모의 자녀는 3세대 부모의 자녀에 비해 학업 성취도가 유 의미하게 낮은 수준을 보였다. 또한, 1세대와 2세대 부모는 3세대 부모 와 비교하여 학교 중심의 개입을 덜 선호하거나, 적극적으로 참여하더라 도 자녀의 학업 성취로 효과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경향이 나타났다. 반 면, 가정 중심의 개입은 이민 세대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부모가 자녀의 학습을 지원하는 가정 내 활동은 세대 간 일관되게 이루 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민자 부모의 교육적 개입 을 촉진하기 위해 언어적·문화적 지원이 필요함을 제언하며, 특히 학교 중심 개입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강 조한다. 이를 통해 이민자 가정의 자녀가 효과적인 학업적 지원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how immigrant generational status (first, second, and third generation) influences parental involvement in education and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in the United States. Using data from the ELS:2002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a sample of 12,433 high school sophomores and their parents, the analysis shows that children of first-generation parents perform significantly worse academically than those of third-generation parents. First- and second-generation parents are less engaged in school-based activities or do not see their efforts translate effectively into academic outcomes. In contrast, home-based involvement does not vary significantly by generation, suggesting consistent support across household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need for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responsive support programs to strengthen school-based involvement among immigrant parents and promote equitable educational outcomes.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미국 이민자 부모의 이민 세대
    2. 부모의 교육적 개입
    3. 이민자 부모의 교육적 개입
Ⅲ. 연구 방법
    1. 연구자료
    2.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1. 분석 모델의 적합성
    2. 부모의 이민세대가 교육적 개입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3. 교육적 개입의 간접효과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최진명(미주리대학교) | Jinmyung Choi (University of Missou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