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licability of the Vocational Identity Status Assessment (VISA) and Differences in Hope-Action Competencies among Small Groups of University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소규모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진로정체감 지위에 따른 하위집단을 분류하고, 이들 하위집단 간 희망-실천 역량의 차이를 분석하는 데 있다. 서울 소재 4년제 대학교 학부생 77명의 자료를 분석 하였다. 진로정체감 지위는 잠재프로파일분석(LPA)을 통해 성취, 유예, 미분화, 혼미의 네 개 하위집단으로 분류되었으며, 희망-실천 역량에서는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성취 집단은 대부분의 희망-실천 역 량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지만, 혼미 집단은 모든 영역에서 가장 낮 은 수준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진로정체감 지위에 따라 희 망-실천 이론에 근거한 차별적인 개입 방향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100명 이하의 소규모 집단을 대상으로 VISA를 활용한 하위집단 분류가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진로정체감 지위별 차별적 개입 방향을 제시함 으로써 진로개입 현장에서의 실천적 연구를 촉진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subgroups based on vocational identity status and to analyze differences in hope-action competencies among these subgroups within a small group of university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77 undergraduate students enrolled at a four-year university in Seoul, South Korea. Latent Profile Analysis (LPA) identified four subgroups: Achievement, Moratorium, Undifferentiated, and Diffusion. Significant differences in hope-action competencies were found among the subgroups. The Achievement group showed the highest scores in most domains of hope-action competencies, whereas the Diffusion group showed the lowest scores across all domain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proposed differentiated intervention strategies grounded in Hope-Action Theory according to vocational identity status. This study confirms the applicability of VISA-based subgroup classification in small groups with fewer than 100 participants and aims to promote field research by suggesting differentiated intervention strategies for career guidance pract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