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 대학에 유학 중인 무용전공 중국유학생의 유학동기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KCI 등재

The Influence of Study Abroad Motivation on College Life Adaptation among Chinese Dance Majors in Korean Universities :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 of Social Suppor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322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3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한국 대학에 유학 중인 무용전공 중국유학생의 유학동기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무용전공 중국유학생 208명을 연구대상 자로 선정하였다. 자료분석은 IBM SPSS 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매 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Sobel-test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 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학동기는 대학생활적응에 정적 상관이 있었고, 사회적 지지에서 교수의 지지와 또래의 지지는 대학생활적응에 정적 상 관관계가 있었다. 그러나 부모의 지지는 대학생활적응에 통계적으로 유 의하지 않았다. 둘째, 유학동기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 적 지지의 하위요인 중 교수의 지지와 또래의 지지는 부분매개효과를 보 였다. 그러나 부모의 지지는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 과는 무용전공 중국유학생을 대상으로 유학동기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를 검토하고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별 차별적 효과를 규명하였다는 점 에서 연구의 시사점을 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hinese students majoring in dance's motivation to study abroad on their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BM SPSS 26.0 program, and the Sobel-test was conducted. First, motivation to study abroad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and in social support, professor's support and peer's support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Second, among the sub-factors of social support, professor's support and peer's support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motivation to study abroad on university life adaptation, but parental support did not have a mediating effect. This study has implications in that it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to study abroad and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among Chinese students majoring in dance and identified the discriminatory effects of sub-factors of social support.

목차
논문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유학동기
    2. 사회적 지지
    3. 대학생활적응
    4. 유학동기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영향
Ⅲ.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모형 및 연구문제
    3. 측정도구
    4.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1.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2. 유학동기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
  • 장희월(계명대학교) | ZHANG XIYUE (Keimyung University)
  • 최두혁(계명대학교) | Choi Duhyuk (Keimyung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