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판소리 교육의 융합적 적용 가능성 탐색 : 전공 연계 창작 중심 수업 사례 KCI 등재

Exploring the Convergent Application of Pansori Education : A Case Study of Major-Integrated Creative Practic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322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0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교양 교과목 <K-POP과 판소리>를 중심으로, 전통예술인 판소리를 현대적 맥락에서 창의적으로 재해석하고 학습자의 전공과 연계 하여 창작활동으로 확장하는 융합형 교육 모델을 개발·적용하고자 하였 다. 연구는 프로젝트 기반 학습(Project-Based Learning; PBL)을 적용 하여, 학습자들이 판소리의 역사, 구성요소(소리, 아니리, 발림 등), 장단 등을 학습한 후 각자의 전공 지식과 결합하여 창작 결과물을 도출하도록 설계되었다. 수업은 전통 판소리 이론 학습, 전통 음악의 현대적 수용 사 례 분석, 직접 실습, 전공 연계 창작 프로젝트의 4단계로 운영되었다. 연 구 결과, 첫째, 학습자들은 전통예술에 대한 심리적 장벽을 낮추고 적극 적으로 창작에 참여하였다. 둘째, 창의성, 협업 능력, 표현력 및 예술적 감수성이 향상되었다. 셋째, 판소리가 학생의 전공과 정체성을 융합하는 창의 융합형 교육 콘텐츠로서 실질적 가능성을 지님을 확인하였다. 한편, 소규모 수강인원, 초기 전공 연계의 난이도 등 일부 운영상 한계도 나타 났다. 본 연구는 향후 고등교육에서 전통예술 기반 전공 연계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실천적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ntegrative educational potential of traditional Korean Pansori by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 convergence-based pedagogical model. Centered on the liberal arts course “K-POP and Pansori” at Kongju National University, the project employed project-based learning (PBL) to guide students through foundational studies of Pansori—its history, structure, and rhythmic elements—and subsequently engaged them in creative reinterpretation by incorporating their respective academic majors.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1) students reduced psychological distance from traditional arts and actively participated in creative processes; (2) the program fostered improvements in creativity, collaboration, artistic sensitivity, and self-expression; and (3) Pansori effectively functioned as a flexible interdisciplinary medium connecting traditional arts with students' academic identities. However, limitations such as small class size and the initial challenge of major integration for first-year students were observed. This study offers practical insights for the development of interdisciplinary cultural arts curricula in higher education.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과 연구 방법
    1. 판소리 교육의 현재와 한계
    2. 선행 연구
Ⅲ. 융합형 수업 설계 및 모형
    1. 창의·융합 교육의 필요성
    2. 연구 방법(초기 수업안)
    3. 실제 주차 유형별 강의 내용 및 운영 결과
Ⅲ. 수업 운영 결과
    1. 개요
    2. 학생별 사례 분석 및 피드백
Ⅳ. 결론
<참고문헌>

저자
  • 김보현(국립공주대학교) | Bohyeon KIM (Kongju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