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관광객에 관한 사회심리학적 접근 : 낯선 장소에 대한 설렘과 두려움 KCI 등재

A Socio-Psychological Approach to Tourists : The Excitement and Fear of Unfamiliar Plac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323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4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관광객이 낯선 장소에서 경험하는 감정(설렘과 두려움)에 대 한 사회심리학적 접근을 통해 관광 경험이 개인적 차원을 넘어 사회적 변화에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관광학 이론과 사회심리학적 접근을 결합하여 관광객의 감정을 설명하고 문헌 고찰하여 구체적인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관광객의 감정은 복합적인 요인 에 의해 형성된다는 점을 밝혔다. 관광객이 경험하는 설렘은 새로운 환 경과 문화에 대한 호기심, 자유로움, 비일상성에서 비롯된 것인 반면, 두 려움은 안전 문제, 언어 장벽, 문화적 차이, 사회적 낯섦에서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이 두 감정은 독립적인 것이 아니라 상호작용하며 관 광객의 경험을 더욱 풍부하게 한다는 점을 도출했다. 긍정적인 관광 경 험은 문화적 개방성을 높이고 다문화 이해를 촉진할 수 있다는 것과 부 정적 감정(두려움, 불안 등)은 특정 지역이나 문화에 대한 편견을 강화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 결국, 이러한 감정은 개별 관광객의 경험을 넘 어 관광지의 이미지 형성, 정책 변화, 지역사회와의 관계에도 영향을 미 친다는 사실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the emotions tourists experience in unfamiliar places—excitement and fear—extend beyond the individual level to influence social change through a socio-psychological approach. To achieve this, the study integrates tourism theories with a socio-psychological perspective to explain and review the literature on tourists’ emotions. The findings reveal that tourists’ emotions are shaped by complex factors. Notably, these two emotions are not independent but interact with each other, enriching the overall tourist experience. Tourism emotions have an impact beyond the individual level and exert social influence. Ultimately, these emotions affect not only individual tourists' experiences but also the image of destinations, policy changes, and relationships with local communities. The conclusion discusses these aspects, acknowledges the limitations of theoretical research, and suggests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목차
논문요약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사회심리학적 접근에 관한 고찰
    2. 관광학 분야의 감정 관련 선행 연구 고찰
    3. 관광객 감정 관련 선행 연구 고찰
Ⅲ. 관광객 감정인 설렘과 두려움에 관한 사회심리학적 고찰
    1. ‘설렘’과 ‘두려움’에 관한 개념적 고찰
    2. 설렘의 심리적·사회적 요인
    2. 두려움의 심리적·사회적 요인
    3. 설렘과 두려움의 상호작용 및 공존
Ⅳ. 관광객 감정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 고찰
    1. 사회적 정체성과 문화적 경험
    2. 지역사회와 관광산업 간 상호작용
    3. 관광객 감정이 사회적 변화에 미치는 효과
Ⅵ.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이웅규(백석대학교) | Woong Kyu LEE (Baekseok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