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대군(對軍) 신뢰도가 명예심에 미치는 영향 : 정신전력연구의 체계화를 위한 단계적 실천 KCI 등재

The Impact of Military Reliability on Honor : Toward a Systematic Framework for Spiritual & Mental Force Research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324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0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유형전력에 비견될 정도로 무형전력이 중요한 형편에서 무형전력 중 정신전력에 집중하였다. 특히, 정신전력과 관련된 연구들을 살펴보면 정신전 력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를 발견하거나 정신전력을 독립변수로 하여 그 영 향경로를 실증적으로 연구하려는 시도가 빈번하였다. 하지만 이상의 실증연구들 은 정신전력을 구성하는 하부요인들이 서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다루지 않 아 관련 연구의 양적·질적 논의가 매우 더딘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군 신뢰도 및 명예심과 같이 선행연구에서 정신전력의 하부요인으로 지목되고 있 는 변수들만을 사용하여 정신전력 하부요인들 간 구조적 관계를 규명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공군 교육사령부에 입과한 교육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배포하여 463개의 연구 데이터를 확보한 이후 구 조방정식(SEM)을 활용해 대군 신뢰도가 명예심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 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대군 신뢰도 하위요인 중 군의 능력, 성실성, 효율성 변수는 명예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군 신뢰도 하위 요인 중 사회기여는 명예심에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정신전력 하부요인들 간 관계에 대한 심층적 이해 및 정신전력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ub-factors of Spiritual & Mental Force, a crucial element of intangible power, recognizing its equal importance to tangible power in the military. While prior research has treated Spiritual & Mental Force mainly as a dependent or independent variable, the interrelations among its components remain underexplored. To address this, the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effect of military reliability on honor, both sub-factors of Spiritual & Mental Force. Survey data from 463 trainees at the Republic of Korea Air Force Education and Training Command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Results showed that only social contribution, among military reliability’s sub-dimension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affected honor. These findings deepen our understanding of Spiritual & Mental Force’s internal structure and offer important implications for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to enhance it in military organizations.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연구설계
    1. 정신전력에 관한 이론적 논의 및 가설설정
    2. 연구모형
    3. 측정
Ⅲ. 실증분석
    1.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2. 기술통계 및 신뢰도
    3. 데이터의 정규성 검증
    4. 상관관계
    5. 확인적 요인분석
    6. 경로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
  • 공윤엽(한양대학교) | Younyup Kong (Hanyang University)
  • 홍성준(순천향대학교) | Sungjun Hong (Soonchunhyang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